정청래 “피해 업종에 1700억 투입…불공정 개선하겠다”
중기중앙회 “강성노조에 사장 패싱…제도적 방어권 절실”
민주당 “산재 예방도 중요…현장 목소리 입법에 반영할 것”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이 4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민주당-중소기업인 정책간담회에서 웃으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이 4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민주당-중소기업인 정책간담회에서 웃으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정기국회 개막과 함께 경제계 민심 잡기에 나섰다. 노란봉투법 시행을 앞두고 현장에서 터져 나온 우려에 귀 기울이며, 기업 친화적 메시지를 연이어 발신하고 있다.

정청래 대표는 4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를 찾아 정책 간담회를 열고 “피해 업종에는 1700억원을 투입하겠다”며 미국 고관세 피해 지원을 약속했다. 동시에 “중소기업 발전 없이 일자리도 없다”며 법·제도 개선을 통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서 중소기업계는 노란봉투법 시행을 앞두고 중소기업이 배제되는 현실을 호소했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강성 노조가 중소기업 사장을 패싱하고 대기업과 협상하자고 한다”며 “노조법상 사용자 정의를 명확히 하고 방어권도 보장해달라”고 요청했다.

제조업의 약 절반이 원·하청 구조로 운영되는 현실 속에서, 원청을 향한 교섭 요구가 하청 중소기업을 곤경에 빠뜨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 대표는 이 같은 우려에 “여러분의 불편함을 어떻게 풀 수 있을까 하는 마음으로 왔다”며 “중소기업이 불공정과 기술 탈취에 시달리지 않도록 하겠다”고 화답했다. 동시에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하는 ‘산재 없는 노동 현장’도 중요하다”며 중소기업계의 안전 책임도 당부했다.

민주당은 중소기업계가 건의한 △사용자 정의 명확화 △건설업 구조 개선 통한 산재 예방 △상법 개정 보완 △고령인력 고용 유연성 보장 △정기국회 내 중소기업 입법 처리 등 제안에 대해서도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전날 정 대표는 소상공인연합회를 찾았고, 김병기 원내대표도 경제 6단체와의 간담회에서 배임죄 완화 등 경제계 요구를 재확인했다. 민주당 지도부의 연이은 현장 방문은 '더 센 상법' '더 더 센 상법'으로 불리는 개정안 추진 속에서 '반(反)기업 정당' 이미지를 피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온다.

민생과 직결된 경제에서 성과를 내려면 기업과의 소통이 불가피하다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김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정부, 국민, 기업이 함께 뛴 결과 회복의 길로 가고 있다”며 “민생 회복과 경제 성장을 위해 더 열심히 뛰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