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일만대교(포항 영일만 횡단 구간 고속도로) 건설이 내년에 본격화되고, 영일만항이 복합항만으로 개발된다고 한다.

새 정부에서 영일만대교를 내년 예산에 반영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영일만대교 사업은 지난 8월 2025년 제2차 추경에서 올해 예산 1821억원이 전액 삭감된 바 있기 때문이다.

당시 정부에서는 노선 확정이 되지 않아 예산이 불용처리되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런데 새 정부의 이런 조치는 지역민들에게 상당한 실망감과 박탈감을 던져주었을 뿐 아니라 정부 정책에 대한 강한 불신까지 초래했다.

문제의 핵심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이견으로 횡단 노선이 확정되지 못한 것이 결정적 원인으로 지목됐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영일만 횡단대교 가운데에 인공섬, 북쪽에는 해상교량을 만들고 남쪽에는 해저터널을 건설하는 안을 주장했다. 이렇게 하려면 당연히 천문학적인 예산이 추가로 투입될 수밖에 없다.

반면 중앙정부는 예산 등을 이유로 북쪽에는 해상교량을 설치하되 남쪽에는 형산강 둑을 따라 도로를 만들어 울산∼포항 고속도로와 연결하는 안을 제시했다.

노선을 놓고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이견을 보이면서 포항∼영덕 고속도로는 영일만 횡단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30.9㎞ 구간의 공사만 진행되고 있다.

영일만대교가 이처럼 지지부진한 것은 지역 정치권의 책임이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역 국회의원이나 단체장들은 영일만 횡단대교 건설사업이 2008년 광역경제권발전 30대 선도프로젝트에 선정된 이후 줄곧 자신들의 공으로 선전했다.

지난해 1821억원의 예산이 반영됐을 때는 앞다퉈 장밋빛 에드블룬을 띄우기 바빴다. 그러나 올해 예산이 전액 삭감됐고, 17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첫 삽을 뜨지 못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하나같이 남탓타령을 쏟아냈다.

심지어 지역 시도의원들은 이 사안을 철저히 정치적으로 해석하면서 ‘진보정권’의 지역 홀대론을 일제히 펴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2008~2013년 이명박 정부, 2013~2017년 박근혜 정부, 2022~2025년 윤석열 정부 때는 왜 완공하지 못했는지 되묻게 된다.

보수정권 때 첫 삽조차 뜨지 못했다는 것은 이 사안이 이념투쟁의 희생은 아니라는 얘기다.

되려 지역 국회의원들과 단체장을 비롯한 시도의원들은 이제까지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어쨌든 영일만대교가 새 정부의 내년도 예산안에 포함된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지역 발전의 중추가 될 영일만대교의 실제 착공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다.

지역 국회의원들과 광역·기초 단체장, 시도의원들은 머리를 깎고 식음을 전폐하는 한이 있더라도 이 사업만은 반드시 본 궤도에 올려놓아야 한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