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소환 불응 처리… 강제수사 포함해 대책 검토 중”
통일교 측 “건강 회복돼야 조사 가능… 이번 주 출석할 것”
김건희·권성동 대상 금품 로비 의혹 핵심 인물

한학자 통일교 총재. 통일교 제공
한학자 통일교 총재. 통일교 제공

김건희 여사와 국민의힘 인사에 대한 로비 의혹을 받는 한학자 통일교 총재가 민중기 특별검사팀의 세 번째 출석 요구에도 불응했다. 특검은 소환 불응으로 간주하고 강제수사를 검토 중이었지만, 한 총재 측이 17일 또는 18일 자진 출석하겠다는 입장을 새롭게 밝히며 국면 변화가 예상된다.

한 총재 측은 14일 “심장 시술 이후 회복할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었다”며 “출석을 거부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 오는 17일이나 18일, 특검이 지정하는 시간에 자진 출석해 성실히 조사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특검은 “내일(15일) 예정된 소환 조사에 대해 한 총재 측이 건강상의 사유로 불출석 입장을 서면으로 제출했다”며 “3회 소환 불응으로 처리하고 향후 대책을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 총재는 이달 8일과 11일에도 심장 관련 시술, 산소포화도 저하 등을 이유로 출석하지 않았다. 통일교 측은 “건강이 회복되는 대로 조사에 응하겠다”고 밝혀왔지만, 특검은 일방적인 통보만 반복된 점에 주목해 체포영장 청구를 거론해왔다.

형사소송법상 피의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3차례 소환에 불응하면 체포영장을 청구할 수 있다. 실제로 특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두 차례 출석을 거부하자 곧바로 체포영장을 청구해 발부받은 전례가 있다.

한 총재는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 ‘건진법사’ 전성배씨와 공모해 김건희 여사에게 고가 명품을 전달하고,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에게 1억원의 정치자금을 건넨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 모두 한 총재의 승인과 지시에 따라 움직였다는 내용이 공소장에 담겼다.

특검은 통일교가 △캄보디아 ODA △UN 제5사무국 유치 △YTN 인수 △대통령 취임식 초청 등 교단 현안과 관련해 김 여사 측에 조직적으로 청탁했다고 본다. 또한 2023년엔 교인들을 국민의힘 당원으로 가입시켜 전당대회에 개입하려 했다는 의혹도 수사 중이다.

권 의원은 오는 16일 구속심사를 앞두고 있다. 특검은 권 의원이 대선과 전당대회에서 통일교 조직을 동원했고, 자금 수수와 함께 수사정보를 유출한 정황도 들여다보고 있다.

한 총재는 지난달 31일 “권성동 청탁 의혹은 허위이며, 어떤 불법 지시도 없었다”고 반박한 바 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