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도 막는 수중 구조물 설치로
국제요트 대회 안전 운영 차질
포항 해양레저 스포츠 큰 제약
경관까지 망치며 상권도 위협
포항해수청 “주민과 협의할 것”

▲ 14일, 국제요트대회 참가 요트들이 영일대 앞 잠제공사가 진행중인 곳에서 멀찍이 떨어진 어선 항로 에서 요트경기를 치르고 있다. 강병찬 기자
▲ 14일, 국제요트대회 참가 요트들이 영일대 앞 잠제공사가 진행중인 곳에서 멀찍이 떨어진 어선 항로 에서 요트경기를 치르고 있다. 강병찬 기자

포항 영일대 해수욕장에 포항해수청이 설치 중인 '잠제'(潛堤, 파도의 힘을 줄이기 위해서 해안에 설치한 수중 구조물)로 인해 국제요트대회 등 해양스포츠가 차질을 빚고 선박 충돌 위험이 한층 높아진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잠제로 인한 해양활동 제한으로 포항 최대 관광지구인 영일대의 활성화가 직격탄을 맞고 있으나 포항시는 주무관청이 아니라는 이유로 아무런 대책도 내놓지 못하는 실정이다.

'2025 환동해컵 국제요트대회 및 원동컵 국제요트대회'가 지난 12~14일 사흘간 영일대 앞바다에서 열렸으나 참가 요트들은 영일대 해수욕장 근방에는 접근하지 못했다.

영일대 일부 상인들에 따르면, "이번 국제요트경기의 경우도 잠제 설치 공사를 한다고 해양 레저기구들이 쫓겨나 해양레저 불가 구역인 어선 항로에서 선박충돌사고를 안고 대회를 했다"면서 "통영에서는 경기 중 요트와 어선이 충돌하며 사망사고도 났고, 송도해수욕장에 설치된 수중 잠제로 인한 해양레저 기구 충돌 사고 위험이 고조됐다"고 밝혔다.

이어 "국제적인 해양레저 공간으로 탈바꿈시켜야 할 영일대 해수욕장 해상에 해양레저 기구 충돌 사고를 일으키는 돌무더기를 넣고 있다"면서 "선박이 잠제 근처에 가면 시끄러운 경고음이 나, 바다에서 조용히 즐겨야 할 요트나 해양스포츠가 소음으로 스트레스가 되고 있다"고 성토했다.

이들은 포항시의 해양관광 정책의 난맥상도 조목조목 지적했다. 한정적으로 허가된 해양레저구역 내 설치된 송도해수욕장 수중 잠제와 더불어 해양레저도시 방향을 거스르는 영일대해수욕장 수중 잠제 공사는 물론, 방문객 없는 송도해양캐릭터공원, 요트 정박이 불가능한 형산강요트계류장, 요트 출입항을 막는 낮은 높이의 교각을 건설 중인 동빈대교 등으로 인해 해양관광산업이 고사하고 있는데도 포항시가 강 건너 불구경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포항시의 복합해양레저도시 선정 때 심사단이 라한호텔에서 바라보는 영일대 해수욕장에 띄어진 수십척의 요트를 보고 큰 감동을 받았다는 얘기를 들었다"면서 "이제 수중 장애물(잠제)이 설치되고 나면 영일대 카페에서, 식당에서, 숙소에서 바라보는 이국적인 바다 요트 뷰가 더 멀어지게 되고, 멀어진 요트들은 어선 및 상선 항해구역으로 밀려 나 해양레저구역 이탈로 해경 단속 대상으로 범법자가 되고, 해양사고의 위험에 노출되고, 사고 시 해양레저 금지라는 행정명령이 내려지면 '해양레저도시 포항'은 '해양레저금지도시 포항'이라는 타이틀이 붙지 않을까 심히 걱정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영일대 잠제는 포항해수청이 343억원의 예산으로 설치 공사 중이며, 오는 2029년 7월 준공 예정이다. 2027년 상반기에 1차 공사를 완료한 후 1년간 모니터링을 한 후 2차 공사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포항해수청 관계자는 "영일대 잠제 설치는 해수욕장 모래 유실 방지가 목적으로 포항시의 요청으로 실시설계 때 수리모형시험을 거쳤으며, 요트단체, 상가번영회, 주민 등과 협의와 설명회를 거쳐 시행하고 있으며, 추후에도 불편사항 등이 제기되면, 충분히 협의해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상인들은 "현재 모래유실의 근거가 없고, 향후 포스코의 매립장이 추가로 들어서면 자연 방파제 역할을 하게 되며, 상인들과의 협의가 부족했다"면서 "포항해수청이 수백억원의 돈을 들이면서까지 천혜의 관광자원인 영일대 해수욕장을 파괴하고 있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 왼쪽 영일대 해상 누각과 오른쪽 잠제 설치공사 현장 사이 멀리 떨어진 바다에서 국제요트경기가 열리고 있다. 강병찬 기자

 

   
▲ 영일대 앞 잠제 설치 공사 현장. 강병찬 기자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