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명 듣고 수사 필요하면 사법 영역에 맡겨야
내란전담재판부 사법부 공격 수단이 아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9일 서영교·부승찬 등 일부 민주당 의원들이 조희대 대법원장과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의 비밀 회동설을 제기한 것과 관련 "의혹을 처음 거론한 분들이 해명해야 할 것 "이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가 1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정청래 대표.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가 1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정청래 대표. 연합뉴스

 

김 원내대표는 오늘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조 대법원장과 한 전 총리의 회동 의혹의 진위를 확인해보았느냐'는 질문에  "지금 당사자들이 일제히 부인하고 나선 것 아니냐. 그것(회동 의혹)을 처음 거론한 분들이 있다. 말한 분들이 해명해야 될 것 같다"고 답했다. 

이어 "만났다면 정말 큰일"이라며 "근거가 있다면 처음 말씀하신 분이 근거, 경위, 주변 상황 등을 말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의혹을 제기한 측에서 의혹을 뒷받침할 상세한 정황이나 의혹을 제기하게 된 경위를 밝혀야 한다는 것이다.

김 원내대표는 당내 일각에서 나오는 특검 수사 가능성에 대해서는 "일단 그 해명들을 듣고 수사나 이런 게 필요하면 수사 주체가 누가 돼야 할지 사법 영역에 맡기는 게 좋겠다"고 밝혔다.

그는 의혹이 사실무근으로 드러날 경우에 관해서는 "사실 정치 분야에 면책 특권을 주는 것은 의혹을 제기하라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정치에서는 의혹이 제기되면 거기에 대해 증거 같은 것이 언론을 통해서 확인되고, 그러면 수사로 들어가는 것"이라며 "조희대와 한덕수는 의혹을 부인하지만, 떳떳하다면 특검, 국회 등 조사에 협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원내대표는 또 당에서 추진하고 있는 내란전담재판부에 대해선 “사법부에 대한 공격 수단이 아니라 내란 재판을 공정하고 신속하게 하기 위한 방어 수단”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3대 특검법 개정안 수정을 합의했다가 당내 반발로 파기된 것과 관련해 대야 관계 기조를 묻자 "내란과 관련한 것은 비타협이다. 논의 대상에서 빠진다"면서도 "그것을 제외한 민생 관련한 문제는 저희가 기다리고, 먼저 가서 만나는 행동을 취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