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엔 ‘4·5일 피해 없다’ 보고… 정정 후에도 수사 혼선
KT, ARS 피해만 집계… PASS 인증 등 해킹 정황은 외면

 9일 한 시민이 서울 kt 판매점 앞을 지나고 있다. kt 가입자들의 집단 소액결제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이번 사건이 결제 카드 정보 도난 등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문가 경고가 나왔다. 연합뉴스
9일 한 시민이 서울 kt 판매점 앞을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KT의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애초 알려졌던 서울 서남권과 경기 일부 지역을 넘어 서울 서초구·동작구,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등에서도 발생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인증 시간 기준 피해 지역 자료’에 따르면, KT가 최초 피해 발생 시점으로 지목한 지난달 5일부터 8일까지 서울 동작구, 관악구, 영등포구에서 15명이 26차례에 걸쳐 962만원 피해를 입었다. 이어 8일과 11일에는 서울 서초구에서 3명이 227만원 상당의 피해를 봤다.

이후 12~13일 경기 광명시, 15일 서울 금천구, 20일 고양시 일산동구, 21일 과천시로 피해 지역이 확산됐고, 26일부터는 부천 소사구, 인천 부평구 등에서도 피해가 이어졌다.

KT는 이달 5일 새벽 비정상적인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했다고 밝혔지만, 차단 직전인 4일과 5일에도 각각 83건(2499만원), 14건(550만원)의 무단 결제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애초 KT는 4~5일 피해가 없다고 국회에 보고했지만, 뒤늦게 피해자 수를 278명에서 362명으로, 피해 건수도 527건에서 764건으로 정정했다.

KT의 피해 집계 방식에도 논란이 이어진다. KT는 자동응답전화(ARS) 신호를 해킹해 소액결제에 성공한 사례에만 주목해 피해를 파악하고 있지만, 경기 광명시의 최초 제보자 A씨는 자신이 하지 않은 PASS 인증 기록이 있었다고 주장했고, 일부 피해자들은 카카오톡 무단 로그인 사례도 겪었다고 밝혔다.

황 의원은 “KT가 보다 빨리 피해 지역과 시기를 공개했다면 수사에 도움이 됐을 정보들이 많았을 것”이라며 “이제야 찔끔찔끔 주요 정보를 내놓는 모습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소액결제가 이뤄진 모든 고객에게 결제 현황을 직접 고지하고 피해 전수조사에 나서야 한다”며 “SKT 사태 때보다 더 강력한 제재와 피해 배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