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발표보다 피해 26개 더 많아… 정부 “초기 집계 착오” 해명
“환경 복구보다 이전이 유리”… 클라우드 기반 대구 분원 재설치 추진
중단된 647개 중 551개는 단계적 재가동… “대국민 서비스 우선 복구” 방침

정부가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피해를 입은 국가 업무 시스템이 애초 밝힌 70개가 아닌 96개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피해 규모가 확대되면서, 정부는 복구 작업과 병행해 시스템을 대전 본원에서 대구 분원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27일 오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며 “화재로 전소된 환경에서는 복구보다 새로운 환경으로의 이전 재설치가 더 신속하고 안전하다는 판단”이라며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기반의 대구센터로 이전해 재가동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항온항습기와 네트워크 장비 복구를 마무리한 뒤, 현재 가동이 중단된 647개 시스템 중 피해를 입지 않은 551개를 단계적으로 재가동한다는 방침이다. 이 가운데 436개는 국민 대상 대민 서비스, 나머지 211개는 공무원용 내부 행정망이다.
윤 장관은 “전소된 리튬이온배터리 384대 중 250여 대를 이미 반출했고, 내일까지 네트워크 장비 복구가 이뤄지면 안정적 이전의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며 “무엇보다 국민의 신뢰를 되찾는 복구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민원 처리 지연, 증명서 발급 차질 등으로 국민께 큰 불편을 끼쳐 사과드린다”며 “지자체는 서비스 장애 현황과 대체 수단을 신속히 국민께 안내해달라”고 당부했다.
정부는 초기 발표와 달리 피해 시스템이 더 많았던 이유에 대해 “화재 직후 인력 접근이 어려운 상황에서 집계에 착오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복구는 시스템 중요도에 따른 등급제를 기준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보건복지부·교육부 등 소관 부처와의 협업 아래 이뤄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