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체감물가를 반영한 20대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1%대로 전 세대 중 가장 낮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9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20대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 1.9%로 전 세대 중 가장 낮았다. 뒤이어 40대 2.1%, 50대 2.2%, 30대 3.1%, 60대 이상 5.2% 순으로 집계됐다.
20대는 실질소득 증가 추세도 둔화하는 모습이다. 2014∼2019년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 2.6%였지만 2019∼2024년은 연 1.1%에 그쳤다.
한경협은 20대 실질소득 증가율 부진 원인으로 청년층 고용 질적 저하와 체감물가 상승을 꼽았다.
2014~2024년 청년층 실업률을 살펴보면 실업률은 9.0%에서 5.8%로 낮아졌고, 고용률은 57.4%에서 61.0%로 상승하면서 고용의 양적 개선이 이뤄졌다. 하지만, 근로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비정규직 비율이 32.0%에서 43.1%로 늘어나면서 고용의 질은 떨어진 모습이다.
외식비 상승에 따른 체감물가 상승도 실질소득 증가율 부진의 주요 원인이다.
실제로 자유롭게 소비하거나 저축할 수 있는 명목 가처분소득과 체감물가를 분석한 결과 20대 명목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014∼2019년 연 3.8%에서 2019∼2024년 연 4.0%로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체감물가 상승률은 2014∼2019년 연 1.1%에서 2019∼2024년 연 2.8%로 2배 넘게 뛰었다. 결국 물가 상승이 명목 가처분소득 상승을 상쇄해 청년층 실질소득 증가율은 오히려 하락했다고 한경협은 설명했다.
한경협은 청년층 실질소득 개선을 위해 고용의 질을 높이는 노동시장 정책과 함께 체감물가 개선을 위한 외식 물가 안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경협 관계자는 “고용훈련, 양질의 고용 창출 여력 확대 등 질적 제고를 위한 노동시장 정책 다변화가 필요하다”며 “할당관세,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해 식재료비 원가 부담을 줄임으로써 외식물가 안정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