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도시서 한일 정상 회담, 2004년 이후 21년 만
인구·지방소멸 등 사회 문제부터 AI·수소 협력까지 논의
퇴임 앞둔 이시바 “정권 넘어 한일 관계 지속 의지”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23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회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23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회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30일 부산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 및 만찬을 갖는다. 지난 8월 도쿄 회담에 대한 답방 성격으로, 한일 정상 간 셔틀외교가 재개 한 달 만에 다시 이뤄졌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9일 브리핑에서 "정부 출범 3개월 만에 상호 방문이 완성돼 소통과 협력의 선순환이 공고해졌다는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일본 총리가 양자 회담을 위해 서울이 아닌 지방 도시를 찾은 건 2004년 고이즈미 총리의 제주 방문 이후 21년 만이다. 부산 회담은 지난달 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이 '지방에서 만나자'고 제안한 데 따른 것이다.

이번 회담에서는 양국의 공통 과제인 인구 문제, 지방 활성화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인공지능(AI), 수소 에너지 등 미래 산업 협력 확대 방안도 다뤄질 예정이다. 양국은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기 위한 협의체 구성도 논의한다.

위 실장은 "지정학적 변화와 무역 질서 재편 속에서 유사한 환경을 가진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로서 논의의 지평을 넓힐 기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미 간 관세 협상은 정식 의제로 오르지는 않지만, 일본의 선례를 참고하는 차원의 대화는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시바 총리는 다음 달 퇴임을 앞두고 있지만, 이번 방한 의사를 직접 밝혀 정상회담이 성사됐다. 위 실장은 "이시바 총리가 퇴임 후에도 한일 관계의 발전과 성장을 위해 중진 정치인으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회담이 실무 방문 형식임에도 불구하고 환영행사와 회담장 준비에 정성을 기울였다고 밝혔다. 위 실장은 "정권을 넘어 양국이 공동으로 안고 있는 과제에 대한 논의인 만큼, 회담의 지속성과 실질적 성과가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