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도시서 한일 정상 회담, 2004년 이후 21년 만
인구·지방소멸 등 사회 문제부터 AI·수소 협력까지 논의
퇴임 앞둔 이시바 “정권 넘어 한일 관계 지속 의지”

이재명 대통령은 30일 부산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 및 만찬을 갖는다. 지난 8월 도쿄 회담에 대한 답방 성격으로, 한일 정상 간 셔틀외교가 재개 한 달 만에 다시 이뤄졌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9일 브리핑에서 "정부 출범 3개월 만에 상호 방문이 완성돼 소통과 협력의 선순환이 공고해졌다는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일본 총리가 양자 회담을 위해 서울이 아닌 지방 도시를 찾은 건 2004년 고이즈미 총리의 제주 방문 이후 21년 만이다. 부산 회담은 지난달 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이 '지방에서 만나자'고 제안한 데 따른 것이다.
이번 회담에서는 양국의 공통 과제인 인구 문제, 지방 활성화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인공지능(AI), 수소 에너지 등 미래 산업 협력 확대 방안도 다뤄질 예정이다. 양국은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기 위한 협의체 구성도 논의한다.
위 실장은 "지정학적 변화와 무역 질서 재편 속에서 유사한 환경을 가진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로서 논의의 지평을 넓힐 기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미 간 관세 협상은 정식 의제로 오르지는 않지만, 일본의 선례를 참고하는 차원의 대화는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시바 총리는 다음 달 퇴임을 앞두고 있지만, 이번 방한 의사를 직접 밝혀 정상회담이 성사됐다. 위 실장은 "이시바 총리가 퇴임 후에도 한일 관계의 발전과 성장을 위해 중진 정치인으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회담이 실무 방문 형식임에도 불구하고 환영행사와 회담장 준비에 정성을 기울였다고 밝혔다. 위 실장은 "정권을 넘어 양국이 공동으로 안고 있는 과제에 대한 논의인 만큼, 회담의 지속성과 실질적 성과가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