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중국·베트남 직격탄…소비자 부담 가중 전망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포고문에 서명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이에 따라 미국으로 수입되는 연질 목재와 제재목에는 10%의 관세가, 소파·의자 등 목재 가구와 주방 찬장·화장대에는 25%의 관세가 각각 적용된다.
이들 품목을 수출하는 국가가 올해 안에 미국과 무역협정을 체결하지 못할 경우 내년 1월 1일부터는 세율이 최대 50%까지 높아진다.
천을 씌운 가구는 30%, 주방 찬장·화장대 등은 50%로 상향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포고문에서 “이번 조치는 목재 산업의 공급망을 강화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국내 설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번 결정은 목재 산업 기반이었던 노스캐롤라이나 등 경합주의 표심을 의식한 정치적 행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미국으로 수입되는 가구와 목제품 상당수는 중국, 베트남, 멕시코에서 생산되고 있다.
캐나다 역시 타격이 불가피하다.
지난해 캐나다가 수출한 연질 목재의 90%가 미국으로 향한 가운데, 이번 조치로 추가 10% 관세가 붙어 총 관세율이 45%를 넘어섰다.
캐나다 업계는 “산업 전반이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했다”고 우려를 표했다. 다만 미국 시장에서 캐나다산 목재 점유율이 높다는 점을 들어, 단기간 내 수출길이 막히진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결국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에는 정교하고 점진적인 방식을 택했지만, 결과적으로 주택 건설업자와 소비자에게 가격 상승 부담을 전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관세 부과는 대통령에게 국가 안보를 이유로 수입을 제한할 권한을 부여하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한다.
트럼프 행정부는 과거 철강·알루미늄·자동차·구리 등에도 같은 법을 적용해 관세를 매긴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