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 응답 TK 84.0%·호남 84.8%…영호남 일치
현 정부의 '수용 불가' 입장에도 61.9% "적절"
“한국인 구금사태 맞물려 협박성 요구로 인식”

우리 국민 10명 중 8명은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미국의 3500억달러선불 요구가 부당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2일 전국 만18세 이상 유권자 10008명으로 대상으로 실시한 현안 조사 결과 미국의 대미 투자 선불 지급 요구에 대해 ‘부당하다’는 응답은 80.1%에 달했다. 특히 '매우 부당하다'는 응답은 61.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대체로 부당하다'는 응답은 18.7%였다.

반면 '수용 가능하다' 응답은 12.4%(매우 5.1%·대체로 7.3%)에 불과했다. 

리얼미터는 "부당 의견이 80%에 달하는 것은 최근 한국인 구금 사태와 맞물려 '협박성 요구'로 인식된 결과"라며 "국민의 국익 보호 의식이 매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습니다.

모든 지역에서 '부당하다'는 응답이 70%를 넘었고, 대구·경북(84.0%)과 광주·전남·전북(84.8%) 등 영호남서도 함께 80%를 훌쩍 넘겼다.

연령별로는 '부당하다'는 응답이 전 연령대에서 60%를 상회했고, 50대에서 88.5%로 가장 높았다.

미국의 요구에 일단 수용 불가 입장을 유지하면서도 대화·협상을 지속하는 현재 정부 대응이 '적절하다'고 평가한 응답은 61.9%,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은 30.5%였다.

정부의 대응 전략으로는 원칙을 지키되 부분적 양보로 협상력을 높여야 한다는 '조건부 협상'을 꼽는 응답이 33.7%로 가장 높았다.

미국의 요구를 단호히 거부해야 한다는 '강경 대응' 전략은 24.6%, 양자 협상과 함께 다자협력을 활용해야 한다는 '국제 공조 전략'은 19.7%였다.

한미동맹을 위해 일부 손해를 감수하며 합의해야 한다는 '실리 우선 전략' 응답은 16.2%에 그쳤다. 

한편, 이번 조사는 무선 임의 전화걸기(RDD) 자동응답 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이며, 응답률은 4.1%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