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산불 발생지 2376곳 중 949곳 산불감시용 CCTV 미설치-- 설치된곳도 산림청 감시 인력 퇴근 시 CCTV 꺼 미작동 추정 - CCTV 감시 실패시 직무유기 책임물어야-- 운영 및 유지관리 체계 전면 재점검해야

이런결과 최근 5년간 산불발생만 12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7일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칠곡 ,성주 고령군)이 산림청 요청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산불 발생지 2376곳 중 949곳(약 40%)은 산불감시용 CCTV조차 설치되지 않은 상태였다. 더욱 심각한 건 CCTV가 설치된 1426곳 중 12곳은 산불 발생 당시 CCTV를 가동하지 않아 실시간 감시에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감시 CCTV를 가동하지 않아 산불 발생을 감시하지 못한 사례는△ 2021년 2건△2022년 2건△2023년 2건△2024년 3건△2025년 3건으로 꾸준히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충남 6곳, 전북 4곳, 경기 1곳, 경북 1곳으로 집계됐다.
산불 발생 당시 CCTV 가동 중단 사유는 △일몰 후 야간시간대 비운영△산불조심 기간 외 비가동△ 낙뢰 우려로 여름철 임시 철거 등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관계자는 "감시인력 퇴근 또는 지자체 상황실 미운영 탓에 CCTV를 꺼둔 것으로 추정된다”고 해명했다.
정희용 의원은“산불이 자주 발생하거나 인명·재산 피해 우려가 높은 취약지역에 설치한 CCTV를 야간및 감시 비시즌시감시 장비를 끈다면 직무유기로 향후 CCTV 설치 운영 및 유지관리 체계까지 전면 재점검할것도 주장했다
남보수 기자
bosu888@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