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때 줄어든 정원 80% 회복
평화교류실·평화협력지구추진단 복원
사회문화협력국 설치··· 남북 문화 교류 수행
'李 정부과제 전담' 한반도정책경청단 신설도
통일부가 윤석열 정부에서 신설된 남북관계관리단이 사라지고 남북회담본부를 되살려 남북회담 및 교류 기능을 활성화한다.

통일부는 부처 간 협의를 거쳐 남북 대화 및 교류협력 조직 복원을 골자로 하는 조직개편안을 14일 발표했다.
현재 533명의 통일부 정원을 600명으로 67명 늘리고, 고위공무원 직위는 18개(가급 4개)에서 20개(가급 5개)로 늘게 된다. 본부와 소속기관의 과·팀은 52개(과 42개)에서 58개(과 49개)로 늘어난다.
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통일부를 '대북 지원부'로 질타한 뒤 줄어든 정원(81명)의 80%가량이 회복되는 셈이다.
남북관계관리단이 없어지면서 해당 업무였던 대화연락출입, 교류협력, 개성공단 기능은 각각 남북회담본부, 평화교류실, 평화협력지구추진단이 맡는다.
다시 살아난 남북회담본부는 회담기획부장 및 5과로 구성된다. 정치군사회담과, 경제인도회담과, 회담지원과, 회담운영연락과, 출입관리과 등이다.
본부는 남북회담 대책 수립, 남북회담 운영, 남북 연락채널 복원·가동, 남북 출입 관리 등 기능을 수행한다.
평화교류실은 △한반도 평화경제 및 공동성장의 미래 준비 △인도지원·호혜적 남북협력 추진을 목표로 한다.
평화협력지구추진단은 평화협력지구기획과, 개성공업지구지원과로 나뉘어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 △평화경제특구 조성 △평화협력지구 기획·추진을 수행한다.
또한 장관 직속 한반도정책경청단이 신설된다.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인 '대북·통일정책에 대한 사회적 대화 활성화'를 전담해 평화공존 제도화, 남북교류협력 및 평화 분위기 확산 과정에 민간참여 활성화, 사회적 대화 기획·조정 등 기능을 맡는다.
윤석열 정부가 북한인권 문제 대응을 위해 만든 인권인도실를 폐지하고 남북 사회문화 교류 추진 및 이산가족 등 인도적 문제의 실질적 해결을 위한 사회문화협력국이 설치된다.
이어 국립 통일교육원은 국립 평화통일민주교육원으로 재편하고, 정보분석국도 정세분석국으로 명칭을 변경한다.
통일부는 15일 '통일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정부 내 절차를 거쳐 다음달 초 조직개편을 단행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