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시장 100% 완전 개방 동의"··· 韓 농산물 추가 개방 방어 입장과 달라
알레스카 가스관·AI·핵심 광물·양자 컴퓨팅 등 2000억달러 투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정상회담에서 관세 협상을 타결한 가운데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한국이 시장을 100% 완전히 개방하기로 합의했다”고 30일 밝혔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 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특별한 만남을 가졌다"고 이같이 적었다.
러트릭 장관은 한국이 시장을 완전히 개방하기로 했다고 했지만 쌀·소고기를 포함한 농산물 시장에서 추가 개방을 막았다는 한국 정부 설명과는 달랐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국이 미국에 3500억 달러 투자하기로 합의한 것에 대해서는 "이 투자는 대통령이 직접 지시하고 승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주력 수출 수출 제품인 반도체에 대해 최대 100%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예고한 것과 관련해서는 "반도체 관세는 이번 한미 간 거래의 일부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한국 정부는 반도체는 주된 경쟁국인 대만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수준의 관세를 적용받기로 미국과 합의했다고 전한 바 있다.
미국 정부는 현재 반도체 관세를 추진하고 있어 곧 공식 발표할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한미 양국이 앞으로의 추진 과정에서 다시 반도체 관세 협상을 할 가능성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러트닉 장관은 한국의 대미투자금 3500억달러(약 500조원)에 관련해 "트럼프는 조선업을 첫 번째 투자 분야로 지정해 미국 내 선박 건조에 최소 1500억 달러를 투자했다”며 “또한 한국의 유수 조선업체들이 필라델피아에서 핵 추진 잠수함을 건조하는 것을 승인했다. 미국의 조선업 재건은 국가 안보에 필수”라고 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알래스카주(州)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에너지 인프라, 핵심 광물, 인공지능(AI), 양자 컴퓨팅 등을 포함한 미국 내 건설 프로젝트에 “2000억 달러를 추가로 투자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