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울 필요 없는 평화가 가장 확고
북한 표현 강도 많이 완화된 듯
北 적대적 표현은 변화 과정의 하나.
南 믿도록 선제 조치 계속해 나갈 것
한반도 평화, 미국 적극적 역할 중요"
이재명 대통령은 1일 APEC 정상회의 폐막 기자회견에서 "싸워서 이기는 것은 하책이고,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중책이라면, 싸울 필요조차 없게 만드는 평화를 만드는 것이 상책"이라 대북 유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거듭 피력했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동북아뿐 아니라 세계평화에 매우 중요하다, 강력한 억지력도 전제로 필요하지만, 최종단계에서는 언제나 대화와 타협, 공존·공영의 의지가 있어야 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평화란 무력으로 억압한 상태나 무력을 통해 전쟁에서 이기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면서 "싸울 필요가 없게 만드는 평화를 만드는 것이 가장 확고한 평화이고 안보"라고 했다.
이어 "우리는 실제로 이를 실천하려 한다"면서 "비록 북측이 한국 정부에 대해 의심하고, 화나고, 그리고 적대적으로 행동하고 있지만, 이 의심과 대결적 사고를, 대결적 상황판단을 바꾸려면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선제적으로 평화를 위한, 북측이 안심하고 남측을 조금이라도 믿을 수 있게 만들 수 있는 선제적 조치들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하고 있고, 앞으로도 평화를 위한 선제적 조치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북측이 여러 계기에 적대적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끝이다, 안 된다'고 생각하지 않고, 변화의 과정에서 나올 수밖에 없는 하나의 표현이라고 생각한다"면서 “과거보다는 표현의 강도가 매우 많이 완화된 것 같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상황을 만들고, 대화를 요청하고,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분위기 만들어가야 하는데, 한국 정부 혼자만으로는 어렵다"면서 미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는 법적으로는 여전히 휴전 중이고, 휴전협정의 당사자는 대한민국이 아닌 미국이었다"며 "그래서 북한은 미국과 협의하고 미국으로부터 체제 안전을 보장받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실제로 그렇게 행동한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미국과 북한이 대화해서 관계를 개선하면 남북간 관계도 개선할 길이 열린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반도에서 평화를 만드는 피스메이커로서 역할을 잘 하도록 하는 게 대한민국의 안보와 평화를 확보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