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회담 계기로 핵연료 공급 협조… “2020년대 후반 건조 착수 가능”
정부, 실무협의체·범정부 TF 추진… “안전 규제 법령도 병행 정비”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의사봉을 두드리며 국무회의 개회를 선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의사봉을 두드리며 국무회의 개회를 선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는 이르면 2020년대 후반 원자력 추진 잠수함(원잠) 건조에 착수해, 2030년대 중·후반에는 우리 기술로 선도함을 진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4일 내놨다.

최근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이 핵연료 공급 요청을 수용하면서 핵잠 개발의 최대 걸림돌이던 연료 확보 문제에 물꼬가 트였다는 분석이다.

원종대 국방부 자원관리실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그동안 가장 큰 난제로 꼽혀온 원잠용 핵연료 확보에 대한 한미 간 협의가 진전됐다”며 “사업이 본격 추진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고 보고했다.

원 실장은 “현재 원잠에 탑재될 원자로와 무장 체계 등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안전성 검증도 병행하고 있다”며 “이미 재래식 잠수함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설계·건조 능력을 갖추고 있고, 여기에 국가 역량을 결집하면 우리 기술로 원잠 건조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과 협의를 통해 연료를 확보하고 2020년대 후반 건조에 착수한다면, 2030년대 중·후반에는 선도함 진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원잠 건조를 국가 전략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한 체계적 기반 마련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원 실장은 “외교 협의, 기술 검증, 산업 기반 조성 등 다양한 과제가 포함된 대규모 전략무기 사업인 만큼, 범정부 차원의 추진 체계를 구축하겠다”며 “한미 외교·국방 당국 간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고, 정부 내부적으로는 전 부처 역량을 결집한 태스크포스(TF)를 꾸릴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원자로를 잠수함에 적용하는 것은 국내에서 처음인 만큼, 안전 규제와 관련된 법령 등 제도적 기반도 함께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