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학원 분석 결과…모의고사서 표준점수 우위 지속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나흘 앞두고, 수학 영역에서는 ‘미적분’, 국어 영역에서는 ‘언어와 매체’를 선택한 수험생이 상대적으로 유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종로학원은 9일 올해 시행된 교육청 모의고사 4회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모의고사 2회 등 총 6회 시험 결과를 분석한 결과, 2026학년도 수능에서 미적분과 언어와 매체의 표준점수가 높게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수학의 경우 미적분 만점자의 표준점수는 확률과 통계 만점자보다 높았으며, 기하 또한 확률과 통계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예를 들어 지난 3월 교육청 모의고사에서 확률과 통계 100점의 표준점수는 149점, 미적분 100점은 157점으로 8점 차이를 나타냈다.
표준점수는 원점수가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을수록 최고 표준점수는 높아진다.
즉, 많은 학생이 어렵다고 느낀 과목일수록 상위권 표준점수가 상승하는 구조다.
특히 미적분은 2022학년도 통합 수능 도입 이후 매년 확률과 통계보다 3~11점 높은 표준점수를 기록해왔다.
일반적으로 확률과 통계는 인문계, 미적분과 기하는 자연계 수험생이 선택하는 과목으로 구분된다.
국어 영역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이어졌다.
통합 수능 이후 교육청 모의고사 20회, 평가원 모의고사 10회, 수능 4회 등 총 34회 시험에서 ‘언어와 매체’의 표준점수가 ‘화법과 작문’보다 1~7점 높게 형성됐다.
올해 시행된 6차례 모의고사에서도 언어와 매체가 모든 회차에서 화법과 작문보다 2~7점 앞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