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금융 확산 및 정부 금융정책 이행 위한 핵심 인프라 마련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는 온실가스 감축을 비롯해 기후변화 적응, 물의 지속가능한 보전, 자원순환, 오염 방지 및 관리, 생물다양성 보전 등 6대 환경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경제활동을 분류하기 위한 기준이다.
iM뱅크의 ‘적합성 판단 시스템’은 여신, 투자, 채권 등 다양한 금융상품에 대해 녹색금융 적합 여부를 체계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K-Taxonomy 기준에 따라 자체 개발된 시스템이다. 올해 6월부터 약 5개월간의 개발을 거쳐 완성된 이 시스템은 기업의 경제활동을 활동기준, 인정기준, 배제 및 보호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금융기관의 녹색적합성 판단을 정밀하게 지원한다.
예를 들어, 임직원들은 본 시스템을 활용해 녹색여신 적합성 판단, 녹색채권 발행 전 프로젝트 검토, 녹색 PF·투자 사전심사 등 다양한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여신 실행 전 녹색 여부를 선제적으로 판단하고, 실행 후에도 사후 적합성 검토를 지원하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를 통해 정부의 생산적 금융 및 에너지 전환 정책 실현을 뒷받침하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iM뱅크 관계자는 “이번 시스템은 K-Taxonomy의 복잡한 기준과 요건을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실질적인 업무 지원 플랫폼”이라며 “이를 통해 기업의 ‘그린워싱’을 최소화하고, 진정한 녹색경제활동을 선별하는 체계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또한 iM뱅크는 본 시스템을 통해 축적되는 적합성 판단 데이터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 데이터는 향후 은행 포트폴리오 내 녹색금융 자산을 정확히 파악·분류하는 핵심 도구로 사용되며, 신재생에너지·저탄소 전환·순환경제 등 정부의 생산적 금융정책 방향에 부합하는 신규 녹색자산 발굴에도 적극 활용될 예정이다.
황병우 은행장은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은 금융이 담당해야 할 필수적 역할”이라며 “iM뱅크의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적합성 판단 시스템을 통해 경제와 정책의 연계를 강화하고, 녹색금융 생태계 확산에 선도적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