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동북아 3국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공식 표기를 ‘한중일’로 일원화하기로 했다. 윤석열 정부 시절 혼용되던 ‘한일중’ 표기를 정리하고, 대중 관계 복원 기조에 맞춰 중국을 일본보다 앞세우는 방향으로 되돌린 것이다.
16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정부는 앞으로 동북아 3국 표기를 ‘한중일’로 통일해 사용하기로 했다.
앞서 윤석열 정부는 2023년 아세안(ASEAN)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중’ 표현을 공식 문서에 사용했으며, 당시 대통령실은 “미국·일본과의 긴밀한 협력 상황을 고려할 때 ‘북미’보다 ‘미북’, ‘한중일’보다 ‘한일중’이 자연스럽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이후 외교적 거리감이나 선호를 둘러싼 해석과 논란이 이어졌다.
이번 표기 정비는 이재명 대통령의 대중 관계 정상화 노력을 반영한 조치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이달 1일 경주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 후 “한중 관계를 전면적으로 회복하고, 전략적 협력 동반자로서 실용과 상생의 길로 함께 나아가게 됐다”고 밝힌 바 있다.
이어 14일 기자회견에서는 “경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중 관계 개선의 전기가 마련됐다”며 “정부는 중국과의 꾸준한 대화를 통해 양국 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길을 흔들림 없이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은 다만 동북아 3국 정상회의의 경우 개최국 순서를 고려해 ‘한일중’ 표현을 그대로 사용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공식 지침이 별도로 하달된 것은 아니지만, 윤석열 정부 이전처럼 자연스럽게 ‘한중일’ 표기로 일관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가장 널리 쓰이는 표현을 기준으로 불필요한 논란을 없애려는 조치”라며 “지나치게 편향됐던 지난 정부의 외교 기조를 정상화하는 의미도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