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수능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
수학 보다 최고 12점 높을 전망
사회탐구 영역 응시생 역대급
동점자 많아 또다른 변수로 작용
변환표준점수 면밀히 체크해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이 수학을 웃돌면서 국어 성적이 대학 정시모집 당악을 좌우할 핵심 열쇠가 될 전망이다.
16일 종로학원 송원학원 등 입시업체에 따르면 2026는 수능에서 ‘불국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국어 난이도가 높아 표준점수 최고점이 141∼149점, 수학은 137∼142점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표준점수란 원점수가 평균에서 떨어진 정도를 보여주는 수치로, 전체 응시생 중 자신이 속한 상대적 위치를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오르고, 반대로 시험이 쉬워 평균이 높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떨어진다.
지난해 수능에선 국어 표준점수의 최고점은 139점으로 수학보다 1점 낮았다. 하지만 올해수는에서 국어의 표준점수가 수학보다 최대 12점이나 높을 전망이다.
수험생이 수학보다 국어를 더 어렵게 느꼈다는 뜻이다. 영어는 절대평가라 성적을 위주로 선발하는 정시모집에선 국어가 대입 당락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그만큼 국어가 수학보다 훨씬 어렵게 출제됐다는 뜻이다. 영어는 절대평가라 성적을 위주로 선발하는 정시모집에선 국어가 합격의 핵심 키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국어가 상당히 어렵게 출제되면서 결국 국어 만점자가 수학 만점자보다 대입에 훨씬 유리한 상황이 됐다"며 "특히 정시모집에선 국어 성적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탐구영역 점수 역시 정시모집 합격을 가를 변수가 될 전망이다.
이과생들이 과학탐구 대신 사회탐구에 응시하는 사탐런 현상이 역대급으로 벌어졌기 때문이다.
무려 80%에 가까운 응시생이 사탐과목에 몰리면서 과목마다 동점자가 속출할 것으로 보이고 그에 따라 과탐 정시 합격선 예측마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문제는 서울대, 국민대, 홍익대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대학은 정시모집에서 수험생의 탐구영역 점수를 볼 때 각자가 만든 변환표준점수 체계를 활용한다는 점이다.
우수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응시생 특성과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매년 다른 산식을 써서 제각각의 변환표준점수 적용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특정 대학에 진학하려는 수험생들은 가채점 뒤 대학별 변환표준점수 적용 방식 등 수능 반영 유형에 따라 자신의 유·불리를 꼼꼼하게 분석하고 지원에 유리한 대학과 전형을 찾아 지원전략 파일을 작성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
가채점 결과 평소보다 수능 점수가 낮게 나왔다면 이미 지원한 수시모집 대학의 대학별고사(논술) 준비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수시 지원 대학 중 합격 가능성이 높은 대학을 선택해 집중적으로 대비하고, 수능 성적이 평소보다 잘 나왔다면 정시모집을 적극 공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정시는 모집군별 3번의 복수지원 기회가 있어 이를 잘 활용해야 하는 것도 중요하다.
한편 수능 채점 결과는 다음 달 5일 발표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