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더민초’ 워크숍서 “10년간 1500건 직접 글 써”
“SNS는 대중 정치인의 생명선… 유튜브도 적극 활용”
당 안팎 “강성 지지층 여론을 민심으로 본 건 부적절” 지적도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당내 초선 의원들에게 친여 성향 커뮤니티 ‘딴지일보’를 언급하며 “민심을 보는 하나의 척도”라고 말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며 논란이 일고 있다.
정 대표는 이달 6일 제주도에서 열린 초선의원 모임 ‘더민초’ 워크숍 강연에서 “우리 민주당 지지 성향을 봤을 때 딴지일보가 가장 바로미터”라며 “그 흐름이 민심을 보는 하나의 척도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저는 딴지일보 게시판에 10년 동안 1500건을 썼고, 지금도 쓴다”며 “평균 이틀에 한 번꼴로 꾸준히 한다. 이길 사람이 없다”고 덧붙였다.
정 대표는 SNS와 유튜브 등 온라인 활동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대중 정치인이고, 물고기가 물을 떠나 살 수 없듯 대중을 떠나서는 살 수 없다”며 “오프라인은 물리적으로 한계가 있으니 수많은 대중을 만날 수 있는 건 SNS”라고 말했다.
유튜브 채널 운영에 대해서는 “정청래TV에 6000개 영상을 올렸고, 유튜브 구독자 수는 이재명 대통령 빼고 제가 제일 많다더라”며 “시장 가면 즉석에서 상인을 찍어 유튜브 광고도 해준다”고 소개했다.
그는 또 “훌륭한 정치인은 안티를 관리하고, 위대한 정치인은 안티를 활용해 대통령이 되더라. 그게 김대중, 김영삼”이라고도 했다. “악플에도 지혜가 있다”며 “TV조선, 채널A에서 저를 까는 걸 재밌게 본다”고도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이 공개되자 당 안팎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민주당 관계자는 “지도부가 주요 현안마다 강성 지지층에 휘둘린다는 비판이 있다”며 “대표가 그런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당 공식 입장은 말을 아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17일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관련 질문을 받고 “대표가 의원 교육 중에 한 발언을 일일이 공식 논평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딴지일보는 김어준 씨가 1998년 창간한 온라인 패러디 신문 겸 커뮤니티로, 초기엔 정치 풍자와 성인용품 쇼핑몰로 시작했지만 점차 친여 성향 커뮤니티로 변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