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업종별 맞춤 전략 요구, 현장 중심 정책 논의 이어져

▲ 중소기업중앙회가 서울 본부에서 ‘소상공인 성장 정책 토론회’를 열었다.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중소기업중앙회는 17일 서울 본부에서 ‘소상공인 성장 정책 토론회’를 열었다. 이번 토론회는 온라인화·디지털화로 시장 환경이 급격히 바뀌는 상황에서 소상공인이 실제로 성장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중앙회 측은 이번 행사가 단순 생계형 지원이 아닌 업종별 규모화, 스마트화, 지역 특성 기반 혁신 전략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며 논의가 진행됐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와 소상공인유통산업위원회, 관련 협·단체 관계자 등 100여이 참석했다. 첫 번째 발표에서는 소상공인의 경영환경 악화 요인을 분석하고, 온라인화에 뒤처진 업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규모화·스마트화를 병행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특히 로컬·생활서비스 업종을 중심으로 새로운 성장 모델을 만드는 정책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두 번째 발표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소상공인이 공정한 경쟁 구조를 확보하기 위한 제도 개선에 초점을 맞췄다. 온라인 플랫폼 규율체계 정비와 함께, 수도권 중심의 AI·디지털 인프라 쏠림 현상을 완화해 지방 소상공인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패널 토론에서는 소상공인 현장의 목소리가 구체적으로 제시됐다. 소상공인을 생계형, 안정형, 성장형, 기업형으로 구분해 유형별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는 의견과, 업종별 차이를 반영한 세밀한 DX 활용 전략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또한 정부 지원이 단순 보조금이 아니라 ‘혁신할 수 있는 시간·자금·지식’을 제공하는 성장형 모델로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일부 패널은 플랫폼 기업 규제 중심 정책에서 벗어나, 업계와 공생하는 구조를 만드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장 가능성이 높은 소상공인에게는 집중적인 지원을, 이미 시장에서 퇴출된 소상공인은 지역 생태계로 연계할 수 있는 경로를 만드는 등 선별적 성장과 구조적 재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내수 침체와 인구 감소가 겹치며 소상공인의 어려움이 심화되고 있다며,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흐름에 대응하기 위한 업종별 맞춤형 성장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