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강, 이차전지, 자동차 등 국내 10대 수출 주력업종의 기업경쟁력이 5년 뒤 중국에 모두 뒤쳐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17일 10대 수출 주력업종의 매출액 1000대 기업(200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최근 시행한 ‘한·미·일·중 경쟁력 현황 및 전망 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10대 수출 주력 업종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일반기계, 선박, 이차전지, 선박, 석유화학 및 석유제품, 바이오헬스 등이다.
조사에 따르면 기업들은 한국의 기업 경쟁력을 100으로 가정했을 때, 올해 중국의 기업경쟁력을 102.2로 평가했다. 미국은 107.2, 일본은 93.5였다.
5년 뒤인 2030년에는 중국 112.3, 미국 112.9, 일본 95.0일 것으로 내다봤다.
한경협은 “국내 기업들은 우리나라의 기업경쟁력이 이미 중국에 뒤처지고 있으며, 향후 5년 후에는 그 격차가 더욱 벌어질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업종별 기업경쟁력을 100으로 두고 중국과 비교해본 결과 기업들은 현재 중국이 철강(112.7), 일반기계(108.5), 이차전지(108.4), 디스플레이(106.4), 자동차·부품(102.4) 등 5개 업종에서 한국보다 앞서고 있다고 판단했다.
반도체(99.3), 전기·전자(99.0), 선박(96.7), 석유화학·석유제품(96.5), 바이오헬스(89.2) 등 5개 업종은 우리나라가 경쟁 우위에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하지만 2030년에는 주력업종 모든 분야에서 중국의 경쟁력이 한국을 앞설 것으로 내다봤다.
업종별 기업경쟁력을 미국과 비교했을 땐 현재 한국이 앞선 분야는 철강, 선박, 이차전지 등 3개 업종뿐이었다.
단, 2030년 미국이 철강에서 한국을 앞지를 것으로 전망돼 우리나라가 미국보다 경쟁력이 높은 업종은 선박(90.0)과 이차전지(93.4) 등 2개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기업들은 경쟁력 제고의 주요 걸림돌로 국내 제품경쟁력 약화(21.9%)와 대외리스크 증가(20.4%)를 꼽았다. 또 인구감축 등에 따른 내수 부진(19.6%), 인공지능(AI) 등 핵심 기술 인력 부족(18.5%) 등을 지적했다.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부 지원과제로는 대외 리스크 최소화(28.7%), 핵심 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18.0%), 세제·규제 완화, 노동시장 유연화 등 경제 효율성 제고(17.2%) 등을 요청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