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71개 대학서 학폭 이력 지원자 397명 중 298명 불합격
계명대 38명·경북대 22명, 서울 주요 대학도 대거 탈락

경북대학교 본관 전경. 경북대 제공
경북대학교 본관 전경. 경북대 제공

2026학년도 대학 입시부터 학교폭력(학폭) 조치 기록이 모든 전형에서 의무 반영되는 가운데, 지난해 대입에서도 이미 학폭 이력이 합격 여부에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구·경북 지역의 계명대와 경북대가 전국 대학 가운데 학폭 이력 탈락자가 가장 많은 대학으로 집계되며 지역 교육계에도 적지 않은 파장이 일고 있다.

18일 국회 교육위원회 김영호 의원실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전국 대학 학교폭력 감점제 반영 현황’에 따르면, 2025학년도 입시에서 학생부의 학폭 조치사항을 전형에 반영한 대학은 국공립·사립대 61곳과 교육대 10곳 등 71개교였다.

자료 제출 대학 134개 중 절반을 넘는 규모다.

이들 대학에 지원한 학폭 이력 보유자는 총 397명, 이 가운데 298명(75%)이 불합격했다.

전형별로는 △수시 370명 중 272명(73.5%) △정시 27명 중 26명(96.3%)이 탈락해 학폭 기록이 최종 합격을 좌우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대학에서도 탈락자 규모가 컸다.

계명대가 총 38명(수시 34명·정시 4명)으로 전국 최다, 이어 경북대가 22명(수시 19명·정시 3명)이었다.

이 밖에도 서울대(정시 2명), 연세대(수시 3명), 성균관대(수시 6명), 한양대(12명), 서울시립대(10명), 동국대(9명), 경희대·건국대(각 6명) 등 서울 주요 대학에서도 학폭 감점 탈락 사례가 잇따랐다.

학폭 조치는 사안의 경중에 따라 1~9호로 나뉘며, 이 중 4호 이상부터는 최소 2년에서 최장 영구 기록이 남는다.

대학들은 대체로 4호부터 감점 폭을 크게 적용하고, 8·9호에 대해서는 사실상 부적격 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계명대는 학폭 조치에 따라 최고 20점 감점을 부과했고, 경북대는 4~7호 조치자에 대해 50점을 감점하는 등 엄격한 기준을 운영했다.

2026학년도 입시부터는 모든 대학이 학폭 기록을 의무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지난해까지는 대학 자율이었지만, 올해부터는 수시·정시·학생부·논술·특기자 등 전형 유형과 관계없이 모두 적용된다.

입시 전문가들은 “지원자 간 점수 차가 극히 적은 대입 구조에서는 학폭 감점이 당락을 결정하는 핵심 변수”라며 “올해는 탈락 규모가 더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