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2일 여성주간을 맞아 ‘2014 통계로 보는 경북여성의 삶’을 발표했다.
통계에 따르면 경북의 여성인구는 134만 3,489명으로 전체 인구의 49.8%를 차지하고 있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16.2%로 가장 많고, 70세 이상 15.5%, 40대 15.4%, 30대 13.0%순으로 나타났다.
또 귀농 여성인구와 여성가구주, 여성 결혼 이민자 수, 여성 한 부모 가구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경북여성의 초혼 연령은 29.2세로 남성보다 2.6세 낮으며 20년 이상 함께한 부부의 황혼 이혼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합계 출산율은 2000년 이후 지속 감소해 2006년 1.2명을 기점으로 상승한 결과 2012년 현재 1.5명으로 증가했다.
30~34세 출생률은 132%로 가장 높고 25~29세는 101.8%로 나타났다.
가사분담과 관련해 ‘부인이 전적으로 한다’고 응답한 여성이 8.5%로 전국(3.7)보다 높았다.
‘부인이 주로 하지만 남편도 분담한다’는 응답이 43.4%로 전국(43.5%)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여학생의 대학진학률은 81.2%로 남학생(73.7%)보다 많았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43.4%로 남성(75.0%)보다 낮았고, 연령별로는 15~29세가 50.7%, 30대가 34.4%, 40대 41.5%, 50대 43.8%, 60세 이상이 47.7%로 파악됐다.
직업 분포는 농림어업숙련종사자가 11만 1천명, 단순노무자 10만 3천명, 서비스 종사자 9만 4천명,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9만 2천명, 사무 종사자 7만 3천명, 판매종사자 7만 1천명 순으로 집계됐다.
임금은 남성의 55.2% 수준인 135만 3,000원에 불과하다.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관련해 초중고교 여성 교장은 8.9%, 2010년 지방의회 여성 당선자는 도의원 4명, 시군의원 10명 등 전체 4.7% 수준으로 여전히 장벽이 높았다.
이순옥 여성정책관은“이번 통계는 통계청 등의 자료를 활용해 경북여성의 삶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개선대책을 마련하려는데 목적이 있다”며 “앞으로 분야별 다양한 정책을 개발해 여성이 능력을 발휘하고 안전한 삶을 영위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