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군 수중에서 발견된 넓미역 (사진=울릉군청)


울릉군은 제주도 일부 지역에서만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넓미역”이 지난해 울릉도에서 발견된 후, 점차 면적이 넓혀지자 이를 이용한 새로운 소득원 발굴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울릉군에 따르면 지난해 해양심층수 취수관로 인근 지역에서 발견된 넓미역의 면적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넓미역은 보통 길이가 1~3.5m, 폭은 25~30cm까지 자라고 조류가 강한 해역의 수심 20m 내외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특정 지역에는 수심 7m부터 40m 이상 확산 분포되고 있으며 크기도 4m 이상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자생 상태에서 넓미역과 일반미역이 합쳐진 교잡종도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다.
울릉도·독도 해양연구기지의 윤성진 박사는 “넓미역과 미역의 중간 형태를 띤 교잡종의 생체량은 1.5배 정도 크며 미역보다 오래 생장하는 특징이 있어 앞으로 식용 및 전복 등의 먹이로 대체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또 울릉군이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 의뢰한 ‘넓미역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논문을 보면 기장, 완도 등의 미역과 비슷한 성분이나 알긴산의 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넓미역에는 다량의 미네랄과 반드시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고 식품 단백질의 영양적 가치 평가 기준으로 매우 중요한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들은 앞으로, 넓미역 추출물로 기능성 식품,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소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했다.
김경학 울릉군 해양수산과장은 “지난해 일부 지역에만 자생하고 있어 보호를 위해 관망했지만, 올해 넓미역 자생 면적이 빠른 확산을 보이고 있어 어민 소득과 연결하기 위해서 보관, 가공 등에 대해 시험 중이며 어촌계의 채취 시기 및 방법, 판로 등에 대해 연구,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최수일 울릉군수는 “넓미역이 울릉도에서 발견된 후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것은 울릉도의 복이며, 앞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해 새로운 먹거리 및 자원으로 개발해 어민소득 창출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시마목 미역과의 단년생 해조류인 넓미역은 국제 식물 신품종 보호동맹으로 품종보호대상 식물로 지정된 해조류로 신진대사 활성화에 유익한 요오드와 칼륨이 풍부하고, 철분 등 미네랄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제주도는 우도 등 일부 지역에서 자생하는 넓미역의 분포범위가 줄어 새로운 양식기반 확충과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넓미역 양식을 진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