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원 문화환경위원회 소속 김명호 의원(안동)은 22일“농산물도매시장내에 경매 전(前) 안전성검사를 거치는 농수산물 현장검사소 설치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날 열린 271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현재 전국 9개 시도에서 15개의 농수산물검사소가 개설돼 운영되고 있는데 반해 경북도내 농수산물도매시장에는 현장검사소가 단 한군데도 없다”면서 “이는 경매 전 농수산물 안전성검사가 단 한건도 실시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라며 이와 같이 밝혔다.

이어“경매 후(後) 유통단계에 있는 농수산물에 대해서는 보건환경연구원에서 검사하고 있지만 극소수 샘플에 대한 검사에 그침으로써, 2013년 기준 연간 반입물량 15만 2천톤 중 60톤, 즉 0.04%만이 형식적으로 검사되고 있을 뿐”이라며“이는 농도(農道)를 자처하는 경북도의 위상과는 어울리지 않는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안전을 특별히 강조해온 박근혜정부하에서 안타깝게도 ‘안전’사고의 빈발로 온 나라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한 후 “안전이라는 목표문화(goal culture)를 달성하는 것은 수사학(修辭學)적 접근이 아니라 의식의 전환과 문화수준, 그리고 실천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타 광역시와 수도권에는 안전성검사를 통과한 농수산물이 유통되고 경북에는 안전성검사를 거치지 않은 농수산물이 유통되는 차별과 불균형이 지속되도록 방치해서는 안된다”며 “포항, 구미, 안동의 공영 농수산물도매시장에 현장검사소를 설치할 것”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농수산물의 효율적인 안전관리와 먹거리 안전성, 도민건강과 학교급식의 안정성 강화에도 필수적인 절차”라면서“경매 전 농수산물의 잔류농약, 중금속, 방사능, 항생물질 등 안전성검사를 확보하고, 위해성이 우려되는 타지의 농수산물이 도내 도매시장으로 무사통과되지 못하도록 보건환경연구원의 조직개편과 인력보강 등 제도개선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어 “부적합 농수산물의 유통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시스템이 완벽하게 갖추어진다면 경북 농수산물에 대한 신뢰도가 그만큼 높아져 경쟁력이 크게 강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