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세월호 침몰참사의 후속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5월 임시국회 소집에 합의했다.
여야는 이를 위해 내주 중 6월까지 이어질 5월 국회 소집을 위한 본회의를 내주 중 개최하고, 세월호 관련 상임위를 12일부터 열기로 했다.
여야는 또 세월호 침몰참사와 관련해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 피해자 대책 및 재발방지 등의 대책을 마련하는데 초당적으로 협력키로 하는 한편 19대국회 후반기 원구성과 관련한 효율적인 논의를 위해 5월 임시회가 시작하는 날부터 논의를 시작키로 했다.
새누리당 이완구,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는 11일 국회 사랑재에서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전날(10일) 상견례를 겸한 회동을 통해 이같이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 원내대표는 "(합의한) 3개항은 (의견이) 일치돼 이론이 없었다"며 "전향적이고 능동적·선제적으로 국회가 먼저 하자고 박 원내대표가 제안해 아주 흔쾌히 동의했다. 국민과 유가족의 아픔을 저희가 보듬는 입장,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국가를 개조하는 측면에서 접근해 가겠다는 것으로 합의됐다"고 설명했다.
박 원내대표는 "지금부터는 국민의 아픔을 달래주는 세월호 국회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저희가 이번 일을 계기로 해서 새롭게 태어나는 그런 심정으로 모든 일에 임해야겠다고 생각했다"며 "특히 여야가 국민을 위한 세월호 특별법 제정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여야는 세월호 침몰참사의 진상규명 등을 위한 국정조사와 청문회, 특별검사제 도입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박 원내대표는 "국조와 청문회, 특검에 관심이 많을 텐데, 합의사항에 포함된 의미로 해석해 달라"고 설명했다.
다만 특검의 시기 등을 놓고선 여야간 이견을 보이고 있어 향후 협상 과정에서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된다.
이 원내대표는 "상설특검법은 6월19일이 돼야 발효되는데, 요건은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이 훼손됐거나 본회의에서 의결돼야 한다. 국정조사도 본회의에 보고하고 의결해야 한다"며 "그래서 원구성을 빨리 해야 되겠다고 의견이 일치됐다"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기자회견 직후 기자들과 만나 특검과 관련, "박 원내대표도 검찰수사 결과를 다 지켜보고 이후에 보자는 이야기지, 지금 하겠다는 것은 아니지 않느냐"면서 "(모든 것을 테이블 위해) 올려놓고 하자는 것이지, (당장) 하겠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새정치연합의 한 원내 핵심관계자는 이날 뉴스1과 통화에서 "국조와 특검이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을 이뤘지만, 새누리당은 시기를 못 박는 것은 난색을 표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국조는 당장 국회가 열리면 논의하겠지만, 특검은 조금 더 시간을 보고 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뉴스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