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는 6일 장대진 의장을 비롯해 윤창욱·장경식 부의장 등 의장단과 상임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일본 정부의 방위백서를 규탄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일본의 사과를 촉구했다.

▲ 경북도는 지난 5일 일본 정부가 독도 영유권 주장을 기술한 ‘2014년도 방위백서’를 발표한데 대해 6일 오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를 강력하게 규탄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일본 정부가 지난 5일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내용이 담긴 ‘2014년도 방위백서’를 발표하자 경북도와 경북도의회가 일제히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규탄의 목소리를 높였다.

경북도는 6일 성명서를 내어 “독도는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명백한 대한민국 영토임에도 불구하고 일본 방위성이 매년 방위백서에 ‘독도는 일본 땅’이라는 어처구니없는 주장으로 역사를 왜곡하고 독도 침탈을 획책하고 있다”면서 “이는 과거 제국주의적 침략야욕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는 명백한 증거로서 역사가 단죄한 침략주의의 부활을 획책하는 시대적 망동”이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일본정부는 역사에 대한 통렬한 반성과 성찰로 역사를 겸허히 받아들여 반문명적 역사 왜곡과 독도 도발에 대한 일체의 허황된 책동을 즉각 중단하고, 동북아의 안정과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 개선 및 인류 공동번영을 위한 전 세계적 노력에 적극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김관용 지사는 “일본은 전범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위안부 부정, 신사참배, 집단자위권 행사를 위한 헌법해석 변경 등 끊임없는 우경화의 길을 걷고 있다”면서 “이는 퇴폐적, 자폐적 역사 인식을 바탕으로 하는 영토 도발과 과거사 왜곡은 국제적 고립을 자초해 자신들의 미래를 어둡게 하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울러 “우리정부는 일본의 억지 주장이 통하지 않도록 ‘독도입도지원센터’, ‘독도방파제’ 등 독도 인프라 구축 사업을 좀 더 속도감 있게 적극적으로 추진해주기를 바란다”며 건의한 후 “독도를 관할하는 도지사로서 일본의 어떠한 도발행위도 결코 용납치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경북도의회도 이날 오후 도민의 방에서 장대진 의장을 비롯해 윤창욱·장경식 부의장 등 의장단과 상임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성명서 발표와 함께 일본 정부의 방위백서를 규탄하고 나섰다.

도의회는 성명서에서 “일본 정부가 방위백서에서 독도가 ‘일본 고유의 땅’이라는 터무니없는 주장을 10년째 반복하고 있지만, 독도는 역사·지리·국제법적으로 명백한 대한민국 고유의 영토”라며 분명하게 선을 그었다.

이어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은 하나같이 근거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일방적인 주장들 뿐”이라며 “지금이라도 독도에 대한 욕심을 버리는 것이 한·일 간의 미래를 위해서도 현명한 방법”이라고 주의 경고했다.

아울러 “일본은 과감한 인식 전환과 침략주의 근성으로 주변국과의 갈등을 끊임없이 야기하는 제국주의적 행동을 즉각 중단하고 대한민국 국민에게 사죄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장대진 의장은 “독도는 명백한 대한민국의 고유 영토임을 다시한번 천명 한다”면서 “앞으로도 300만 도민과 함께 일본의 독도 영토침탈 만행에 강력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독도수호 의지를 표명했다.

도의회는 오는 22일 제272회 임시회 본회의를 독도에서 갖고 독도수호 결의문을 채택할 예정이다.

한편 일본 방위성은 지난 5일 각의(국무회의)에 제출한 2014년도 판 방위백서에서 "북방영토나 다케시마(일본의 독도명)의 영토문제가 여전히 미해결된 채로 존재하고 있다"고 적시하면서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표기했다

2005년 이후 10년째다.

게다가 방위백서에 게재한 지도에는 독도를 '다케시마'라고 표기했으며 용어색인에 '다케시마' 항목을 새로 추가하는 등 어처구니없는 주장을 펼쳐오고 있다.

특히 올해 방위백서에는 방공식별구역에 관한 지도에 독도 상공을 일본 영공으로 표시하는가 하면 합의되지도 않은 배타적 경제수역(EEZ) 경계선을 임의대로 표시하는 등 영토침탈야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 공분을 더하고 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