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전 실장은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등으로 입건된 피의자이지만 단 한 차례의 조사도 받지 않은 상황이라 새로운 정보를 주지 않겠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 전 실장은 우선 최 씨를 "모른다"고 주장했다.
그는 "내가 최순실을 알았다면 연락을 하거나 통화를 한 것이 있을 것이다. 검찰이 조사해보면 다 알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세월호 침몰 당일 박근혜 대통령의 행적과 관련, "관저 내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서는 모르고 있다"며 선을 그었다.
최 씨 측근 차은택 씨를 만난 것에 대해서는 "대통령께서 차은택이라는 사람을 만나보고 문화 융성에 대한 여러 가지 의지와 한번 알아보라고 해서 만났다"며 자의가 아닌 대통령 지시에 따른 것이란 점을 강조했다.
최 씨와 차씨가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강요 등의 혐의로 기소된 상황에서 특검이 이들과 김 전 비서실장이 공모했는지 등을 조사할 것에 대비하는 답변으로 보인다.
김 전 실장은 포스코 회장 인선 과정에서 조원동 전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 등에게 권오준 회장이 인선되도록 압력을 행사한 의혹에 대해서도 "관여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그는 특히 "대통령을 제대로 보필을 못 해 오늘날 이런 사태가 된데 대해 참으로 부끄럽고 죄송하게 생각한다"며 도의적인 부분은 인정하면서도 법적 책임으로 이어질 수 있는 사안에 대해서는 철저히 차단막을 쳤다.
한편, 특검은 청문회 진술을 토대로 김 전 실장을 비롯한 주요 수사 대상자의 입장을 미리 파악하고 주요 인물 간 진술의 모순 등을 파고들 것으로 보여 김 전 실장 등의 모르쇠 일관 답변이 특검에서 약이 될지 독이 될지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창형 기자
changpia@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