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내 비박(非박근혜)계가 21일 탈당을 결행키로 했다.
헌정사상 초유의 보수정당 분당사태가 현실화된 것이다. 1988년 이후 국회가 ‘4당 체제’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아졌다.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씨의 국정농단 사태가 불거진 뒤 연일 대립했던 새누리당 내 친박계와 비박계가 이날 '불안한 동거'에 사실상 종지부를 찍었다. 비박계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33명의 현역의원이 참석한 회동을 갖고 오는 27일 분당을 감행하기로 결정했다.
비박계의 탈당 결행은 친박계인 정우택 신임 원내대표가 선출된 데 이어 자신들이 제시한 유승민 비상대책위원장 카드가 친박계로부터 수용되지 않자 더 이상 당에 남을 필요가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주목할 것은 비박계의 탈당 인원이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필요한 20명을 훨씬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이다. 향후 정국은 친박계가 이끄는 새누리당과 비박당, 민주당과 국민의당까지 4당 체제로 꾸려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정치권 안팎으로부터 여야 간 협치에 대한 요구가 어느 때보다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친박과 비박 간 대립국면이 해소되지않고서는 정국운영이 원활히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또다른 한편으로는 비박계의 탈당이 물꼬가 돼 이들과 정치권 안팎에 퍼져있는 개헌파 등이 뭉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4당 체제에서 제3지대 역할론이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보수정당 사상 최초의 분당 사태가 불리해진 대선지형을 극복할 일시적 ‘분가’(分家)에 머물지 아니면, 향후 제3지대에서 정계개편을 촉발할 태풍의 눈이 될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일단 비박계는 탈당이라는 극단적 선택을 내린 만큼 친박계와의 재결합 가능성을 일축하며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향후 대선 정국에서 보수진영의 결합 가능성은 높은 것이다.
다만 새누리당의 분당이 기정사실화 한 만큼 국회는 조기에 정상화 해서 지금의 난국을 슬기롭게 헤쳐나가는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지금 정국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으로 황교안 총리가 권한대행을 맡고 있는 비상 상황이다. 외교문제는 물론, 남북 상황, 경기불황, AI창궐 등 여야 정치권이 힘을 모아도 풀기 어려운 난제가 쌓여 있다. 국민들은 촛불을 들고 박 대통령 탄핵안을 가결시켰다. 이제 정치권은 지루한 정쟁에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 국민들의 걱정을 덜 수 있는 지혜를 발휘해 국민들에게 화답할 차례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