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리더십 회복 여부가 '본궤도' 관건

새정치민주연합의 '비상기구'인 국민공감혁신위원회(이하 국민공감위)가 출범도 하지 못하고 표류하고 있다.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지난 5일 기자회견에서 20일 출범을 목표로 제시했다. 그러나 세월호특별법의 1차 합의안이 당내에서 거부된 데다 7월 임시국회 마지막날인 19일 극적으로 타결한 2차 합의안마저 추인이 보류되면서 국민공감위의 출범도 시일을 넘기게 됐다.
사실상 국민공감위 출범이 세월호특별법의 협상 정국과 연계된 만큼 세월호특별법 재합의안 추인 여부가 국민공감위 출범 일정도 결정할 듯하다.
새정치연합의 한 핵심관계자는 20일 뉴스1과 통화에서 "일단 재합의안 추인을 마무리 지어야 국민공감위원회 출범도 가능하지 않겠느냐"며 "가급적이면 이번 주까진 국민공감위 구성을 완료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그것도 세월호특별법 추인 여부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국민공감위는 박 위원장을 포함, 당내 인사와 외부 인사가 절반씩 참여해 10명 안팎으로 구성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박 위원장은 세월호특별법 협상 과정에도 틈틈이 '국민공감'과 '혁신'을 기치로 '당 재건'을 이끌 국민공감혁신위원 인선 작업을 벌여왔다.
특히 외부인사의 경우는 박 위원장이 직접 나서 인선을 하는 터라 주요 당직자들조차 "누구를 만나는지 알지 못한다"고 토로할 정도로 구체적인 면면이 알려지지 않은 상태다.
당 안팎에선 국민공감위가 온전하게 출범할 수 있을지 의문을 갖는 시각이 적지 않다.
일단 유가족들이 세월호특별법 재합의안에 대해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세월호특별법 추인이 또 다시 불발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끝내 재합의안 추인이 불발될 경우, 박 위원장의 리더십은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자칫 '박영선 비대위 체제' 자체가 무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미 당내에선 박 위원장이 국민공감위를 출범시킬 동력을 상당부분 상실한 게 아니냐는 관측마저 나오고 있다. 박 위원장이 우여곡절 끝에 국민공감위를 출범시킨다 하더라도 리더십에 상처를 입은 상황에서 제대로 된 '당 혁신'을 이끌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지적이다.
수도권의 한 중진 의원은 이날 통화에서 "당내에선 박 위원장이 국민공감위 출범의 동력을 확보할 힘을 잃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며 "애초부터 물리적으로 원내대표와 비대위원장직을 겸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결국 국민공감위 출범이 본궤도에 오르기 위해선 박 위원장이 유가족들의 이해를 구해 세월호특별법 문제를 매듭짓느냐, 이를 통해 자신의 리더십을 회복하는 계기를 마련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 당직자는 "모든 것은 박 위원장이 세월호특별법 추인 과정에서 어떤 리더십을 보여주느냐에 달린 것 아니겠느냐"라고 말했다. 뉴스1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