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주 초 靑참모진 교체·총리지명..개각은 지방선거後 유력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사과가 임박한 가운데 청와대 참모진과 내각 개편의 시기와 방법에 대해 국민적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일요일인 11일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를 갖고 대국민담화를 통해 국민에게 제시할 재난·안전 대책 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한 데 이어 이틀 뒤인 13일 국무회의를 열어 실무적 차원에서 재난안전대책과 공직사회개혁안 등에 대해 폭넓은 의견을 수렴했다.

박 대통령은 이후 대통령담화 준비 작업에 들어가 이르면 '세월호' 참사 한 달째인 16일이나 다음 주초께 담화를 발표하고 동시에 대규모 인적쇄신 작업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이르면 다음 주 초께 청와대 참모진 개편을 시작으로 정홍원 총리에 대한 사표수리와 함께 신임총리 지명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기 개각과 관련해서는 6·4지방선거 직후에 단행할 예정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인 가운데 '세월호 참사' 수습과정에서 문제가 제기된 일부 장관에 대한 문책성 개각은 지방선거 전이라도 있을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또한 청와대 참모진과 개각 폭과 관련해서는 최소 중폭 이상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우선 국가개조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은 만큼 청와대로서는 대국민담화를 통해 제시할 대안에 대한 부담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이 담화를 통해 국가안전대책, 관피아 척결방안 등을 제시하더라도 만족할만한 수준의 '민심 수습'을 기대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대규모 인적쇄신을 통해 국가개혁에 대한 의지를 보여줘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청와대 참모진 개편과 관련해 여권과 청와대 주변에서는 '아무래도 청와대 참모진 개편을 통해 청와대가 인적쇄신에 앞장서는 모습을 보여야지 않겠냐'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또한 김기춘 비서실장을 비롯해 청와대 수석비서관들에 대한 대폭 교체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일부 청와대 수석들의 경우 입각설도 나돌고 있어 개각에 앞서 청와대 참모진 개편이 먼저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가장 큰 관심은 김기춘 비서실장의 교체 여부다. 하지만 지난해 8월에 임명된 김 실장이 교체될 경우 전임 허태열 실장과 함께 임기 1년을 채우지 못하고 대통령 비서실장을 교체한다는 정치적 부담을 청와대가 안게 돼 김 실장 교체는 어렵지 않겠냐는 관측이 많다.

또한, 국정운영의 연속성을 위해 청와대 수석진의 교체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주장도 적지 않다. 세월호 참사가 있기 전 경제혁신 3개년 계획, 규제개혁 드라이브, 드레스덴 선언, 통일준비위원회 등에서 현 청와대 수석실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고 좋은 평가를 받아왔기 때문에 '세월호' 수습 이후 국정정상화를 위해선 이들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와대 참모진에 대한 인적쇄신의 신호는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지난 9일 백기승 국정홍보비서관이 사퇴한 데 이어 10일에는 류정아 관광진흥비서관이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12일에는 이중희 민정비서관이 우병우 변호사로 교체됐고, 그동안 공석이었던 공직기강비서관과 민원비서관에는 권오창·김학준 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가 각각 내정됐다.

백 비서관은 뉴스1과의 통화에서 "인적쇄신에 청와대가 솔선수범을 보여야 하지 않겠느냐"며 "인적쇄신의 길을 열기 위해 먼저 사표를 제출한다"고 밝혔다.

한편 후임총리 인선과 관련해서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발표가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여권은 지방선거 이전에 후임 총리를 임명해 세월호 침몰 사고로 이반된 민심을 추스르는데 전력을 쏟아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박 대통령으로서도 세월호 사건이 지방선거 패배로까지 이어질 경우 국정 운영의 동력을 상실할 수 있다.

하지만 세월호 이후 국가개조라는 큰 명제 앞에 요구되는 자질·조건이 많은 데다, ‘일하는 총리’라는 느낌이 강한 지도력을 갖춘 인물을 찾기가 쉽지 않아 총리 인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관료에 대한 국민적 실망감에 비관료 출신의 정무형 인사를 총리로 발탁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의외의 인물이 깜짝 중용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예전처럼 독단적인 인사를 하기엔 부담이 큰 만큼 예상인물이 새 총리로 내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도 많다.

현재 청와대측은 "지금 총리인선 작업을 벌이고 있다"는 공식입장만 내놓을 뿐 시기와 인선 방향 등에 대해 보안을 유지하고 있어 하마평만 무성한 상황이다. 뉴스1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