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클로산, 파라벤 성분 유방암, 고환암 유발

미국 전면 사용 중지, 우리는 규제 기준도 없어

인체에 유해한 파라벤, 트리클로산 성분이 함유된 치약이 버젓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누리당 김재원 의원(군위군ㆍ의성군ㆍ청송군.사진)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식약처)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의약외품으로 허가가 난 2,050개의 치약 중 파라벤이 함유된 치약은 1,302개(63.5%), 트리클로산이 함유된 치약은 63개(3.1%)인 것으로 집계됐다.

파라벤은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방부제의 일종이며, 트리클로산은 항균효과가 있는 화학물질이어서 암 발병률을 높이거나 각종 호르몬 분비를 교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와 인체 유해 논란이 일고 있다.

미국 미네소타주는 지난 5월 트리클로산 사용을 금지하는 법을 통과시켰고, 미국 치약제조회사인 콜게이트-팜올리브사는 2011년부터 트리클로산의 사용을 전면 중단 했다.

김재원 의원실에 따르면 치약 중 일부 제품은 허용 기준치인 0.2%를 초과하는 파라벤을 함유했다. 트리클로산의 경우 화장품과 세정제에는 최대 허용치가 0.3%로 규정돼 있으나 치약에는 기준 조차 마련돼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대해 김재원 의원은“유해 성분을 포함한 치약이 버젓이 생산․판매되고 있어 국민의 불안이 증가하고 있다”면서“정부는 의약외품에 대해서도 최초 품목 허가 이후 정기적으로 안전성․유효성을 재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창준·권호문 기자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