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시스템‘D-클라우드’구축
비용 4할 줄고 해킹 사고 등 예방

대구시는 행정정보시스템 운영 환경을 하나로 통합하는 ‘D-클라우드 구축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본격 운영을 시작한다.

대구시는 이번 사업으로 향후 정보시스템 구축 예산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클라우드 내 여유 자원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어 전산장비의 구매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통합예약시스템의 경우와 같이 접속자가 한꺼번에 집중되는 경우 시스템 규모를 일시적으로 늘려 접속 대기 시간을 줄이고 시스템이 중단되는 사고를 예방하는 등의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대구시는 D-클라우드를 활용해 6년 동안 별도 구축 대비 42.4%의 비용을 절감했다. 기존 방식으로 시스템을 새로 구축하려면 전용 장비를 설계하고 구매하는 비용과 절차가 필요하지만 이 모두를 생략할 수 있다.

실제로 지역의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했던 작년 대구는 D-클라우드 시스템을 통해 전국 최초로 재난지원금 지급을 완료했고, 최근 신규 구축되는 시스템들 또한 이전 대비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과 기간이 절반 이상 줄어들고 있다.

정부의 클라우드컴퓨팅법 시행에 맞춰 대구시는 기존 정보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 작업도 차근차근 진행 중이다. 사업을 착수한 2016년 14개를 시작으로 매년 10여 종의 시스템을 D-클라우드로 편입시켜, 2021년 현재 총 78종 업무의 전환을 완료한 상태다. 대구시는 정부가 정한 클라우드 전환 완료 시점인 2025년까지 모든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 방식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대구시의 D-클라우드 사업은 ‘플랫폼 기반 서비스(PaaS: Platform as a Service)의 완성’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중앙정부를 비롯한 많은 기관들이 시대적 요구에 따라 클라우드 사업을 기획하거나 추진하고 있지만, 단순히 하드웨어 장비를 하나의 장소로 옮겨와 운영(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하는 기초적인 수준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대구시의 이번 사업은 시스템 구축 전 과정(하드웨어→코딩→배포→환류)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표준화했다는 점이 눈여겨볼 만하다. 향후 대구시가 발주하는 모든 신규 시스템들은 이 표준 플랫폼을 활용함으로써 구축비, 운영비 절감은 물론 통합 보안 관리를 통한 해킹사고 위험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김정기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대구시는 경제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매우 우수한 클라우드 시스템을 완비하고, 중앙정부의 클라우드 전환 정책에도 선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며 “6년 전 시작된 선도적인 투자가 예산 절감과 운영 효율화라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만들어갈 수 있도록 관리와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