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께 총 521만3000명 예측
저출생·직장 등 경제활동 원인
1인 가구 비중도 매년 느는 추세
정부차원 중장기 대책마련 시급
저출생·직장 등 경제활동 탓에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20%인 1천만명의 청년이 30년 뒤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청년 세대 인구는 1천21만3천명으로 우리나라 총 인구(5천13만3천명)의 20.4%를 차지했다. 5년 전인 2015년에 비해 인구는 48만3천명, 비중은 1.1%포인트 하락했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에 청년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 31.9%(1천384만9천명)를 정점으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청년인구의 하락세가 이어질 경우 2050년에는 521만3천명으로 예측된다. 이는 저출생·경제활동 등으로 인해 30년 뒤 청년 인구가 절반으로 감소된다는 것이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1.0%로 절반가량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2020년 청년 세대 중 미혼인 사람은 783만7천명이었다. 전체 청년 인구의 81.5%로 5년 전인 75.0%보다 비중이 6.5%포인트 높아졌다. 성별로 보면 청년 남자의 86.1%가, 여자의 76.8%가 미혼이었다.
연령대별로는 평균 혼인 연령대인 30∼34세에서 56.3%가 미혼이었다. 20년 전인 2000년(18.7%)에 비해 37.6%포인트 상승했다.
가구 유형별로 보면 청년 세대 중 1인 가구는 20.1%(193만5천명)였다. 1인 가구 비중은 2000년 6.6%에서 2010년 12.6% 등으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청년이 혼자 사는 이유로는 '본인의 직장 때문'이 55.7%로 가장 많았다. '본인의 독립 생활'(23.6%), '본인의 학업 때문'(14.8%) 등이 뒤를 이었다.
1인 가구 청년의 거주 형태는 월세(58.2%), 전세(26.6%), 자가(10.5%) 등의 순이었다. 거처 유형은 단독주택(50.8%), 아파트(20.8%), 오피스텔 등 주택 이외의 거처(14.9%) 등의 순으로 많았다.
이 가운데 청년 세대의 53.8%(549만1천명)는 수도권에 거주했다. 청년 세대의 수도권 거주 비중은 2005년 51.7%로 상승한 이후 과반을 유지하고 있다.
2020년 출생지를 떠나 다른 권역으로 이동한 청년은 수도권에서 46만2천명, 중부권에서 41만8천명, 호남권에서 42만7천명, 영남권에서 67만5천명이었다.
중부권에서 83.1%, 호남권에서 74.5%, 영남권에서 75.9%가 각각 수도권으로 이동했다. 비수도권에서 이동한 청년(152만명) 중 77%(117만8천명)가량이 수도권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통계에 비춰 볼 때 가장 큰 문제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 감소는 물론 청년 인구를 필요로 하는 직업의 인력난과 군 복무 인력 충원이 가장 큰 문제가 될 것으로 보여 정부의 청년 인구 감소에 대한 중장기 대책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