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토론회 열고 특별금융 1조
3조3000억 규모 일감 제공 약속
경남도, SMR제작지원센터 포함
원전 발전 현안사업 정부에 건의
SMR제작지원센터 경남 유치땐
경주에 관련 기업 유치 어려워져

▲ 문무대왕과학연구소가 들어서는 혁신원자력연구단지 조감도. 경북도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경남 민생토론회를 통해 제시한 원전산업 지원 약속에 대해 경남도 관계자들이 발 빠른 대처 방안을 내 놓아 소형모듈원자로(SMR)을 미래 100년을 견인할 성장동력으로 믿고 사업을 추진 중인 경북을 긴장시키고 있다.

경남이 대형원전 건설에 이어 경북이 추진 중인 SMR까지 진출하려는 것이냐는 의혹 때문이다.

박완수 경남지사가 이날 ‘민생토론회'에 앞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만나 소형모듈원자로(SMR) 제작지원센터를 포함한 원전 발전 현안사업을 건의했다. 박 지사가 건의한 SMR 제작지원센터 경남 유치는 원전 부품 제작을 감당할 원전 중소·중견기업 유입과 직결된다.

‘SMR 제작지원센터’는 SMR 기자재 제조용 로봇기술을 활용해 원전 중소·중견기업의 시제품 제작, 공동장비 활용, 공동 연구개발 등을 지원하는 시설이다. 원전기업의 제작 역량 강화와 혁신 제조 기술 확보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기관이다.

경북도는 지난해 3월 신규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지정된 ‘경주SMR(소형모듈원전) 국가산단’ 성공을 위해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을 위한 사업타당성 조사 용역에 들어간 상태다.

이를 위해 경북도와 경주시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일은 기업 유치다. 그러나 SMR 기업 자체가 많지 않아 지자체의 어려움은 적지 않다. 이를 위해서라도 경주시는 ‘SMR 제작지원센터’ 유치에 나설 수밖에 없다.

예타를 거쳐 경주 SMR국가산단의 최종 확정 여부는 2026년 말 결정된다. 경주 SMR(소형모듈원전)산단은 경주 문무대왕면 두산리 일원에 150만㎡ 규모로 SMR국가산단이 조성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경남 창원시 경남도청에서 '다시 뛰는 원전산업, 활력 넘치는 창원·경남'을 주제로 14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열고 "정부는 원전산업 정상화를 넘어 올해를 원전 재도약 원년으로 만들기 위해 예산 및 (SMR)특별법을 통한 전폭 지원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최근 해외 원전 수주 성과를 언급하며 "먼저 3조3천억원 규모의 원전 일감과 1조원 규모의 특별금융을 지원하겠다"며 "계약만 하는 것이 아니라, 선지급을 통해 기업들이 숨을 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을 개정해 원전 제조를 위한 시설 투자나 연구개발도 세제 혜택 대상에 포함하겠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원전 연구 기반 강화와 관련해 "우리 정부에서 5년간 4조원 이상을 원자력 연구개발(R&D)에 투입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개발을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또 "원전산업이 계속 발전할 수 있도록 SMR(소형모듈원자로)을 포함한 원전산업지원특별법을 제정하겠다"며 "합리적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2050 중장기 원전 로드맵'을 금년 중에 수립하고 마무리 짓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