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오늘 1년9개월만의 기자회견
채상병 특검 등 주요현안 견해 표명

▲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신임 민정수석에 임명한 김주현 전 법무차관을 소개하기 위해 브리핑실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기자회견을 하루 앞둔 8일 여야 모두 국정 기조 변화를 당부하는 발언이 나왔다.

국민의힘은 이번 기자회견을 두고 '소통 정부'로 회복하는 출발점으로 평가했다.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8일 윤 대통령의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 대해 "국민들에게 다가가는 내용이 담겼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이날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난 2년간 물가상승률이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라며 "대한민국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국정기조의 변화, 민생중심 국정으로 희망을 만들어주길 간곡히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다만 '채상병특검법' , '1인당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 등 민감한 현안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반응을 보였다.

국민의힘은 야당 주도로 국회를 통과한 '채상병특검법'과 관련해서는 조건부 수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3선 중진의 조해진 의원은 전날 자신의 SNS(소셜미디어)에 "(대통령이) 일단 거부권을 행사하더라도 여야가 조속히 재협상할 것을 요청하고 이태원특별법처럼 여야가 합의하면 특검을 수용할 것을 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5선 고지에 오른 윤상현 의원도 같은 날 기자들과 만나 "절차적으로 공수처의 수사 상황을 지켜보고 한 점이라도 의혹의 소지가 있으면 그때 여야가 만나서 채상병 특검법을 합의하자는 게 입장"이라고 말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해병대 채상병 사망사건 수사외압 의혹 특별검사법'(채상병 특검법) 수용을 거듭 압박했다.

박성준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라디오 방송에서 "무슨 조건을 걸고, 시한을 걸고 이러는 게 아니라 정정당당하게 특검을 받아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재의결이 안 되면 22대 국회에서 다시 추진할 것"이라며 "진짜 보수라면, 진짜 청년을 위한다면, 진짜 국민의 생명을 소중하게 생각한다면 오히려 적극적으로 나서서 진상을 밝히고자 해야 하지 않겠느냐" 며 '조건부 수용론'에 대해 거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민주당이 총선 공약으로 내건 '1인당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을 두고도 여야는 신경전을 펼쳤다.

민주당은 '지원금 지급'을 가장 시급한 민생 현안으로 꼽으며 1호 법안으로 발의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 대표는 "윤석열 정부는 완전히 마이동풍이어서 처분적 법률 형태를 통해서라도 할 수 있는 최대한 실질적 조치를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정부 협조 없이도 지급할 수 있는 '처분적 법률' 형태로 '1인당 25만 원 민생회복지원금' 을 지급하는 것과 관련해 위헌적 요소가 있다고 지적했다.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그런 시도는 삼권분립의 근본적인 헌법 정신에 맞지 않으며 야당이 추경 편성 요구를 거절한 채 법안을 강행할 경우 헌법재판소 제소 등 법정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윤 대통령의 공식 기자회견은 2022년 8월 취임 100일 기자회견 이후 1년 9개월 만이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대국민 메시지를 포함해 1시간 이상 생중계되는 이번 회견에서 솔직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소통을 강화하는 모습을 드러내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