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대와 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는(서울의대 비대위)는 17일 전공의 사태 해결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갔다.
비대위에 따르면 휴진에는 필수·응급 등을 제외한 진료과목에서 529명의 교수들이 참여한다. 이는 전체 교수(1475명)의 35.9%에 해당한다.
또, 전체 교수 중 응급·중환자 진료, 진료지원, 기초의학교실을 제외한 진료 담당 967명 가운데 참여 교수의 비율은 54.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위는 수술장 가동률이 기존 62.7%에서 33.5%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휴진 기간에도 진료가 필요한 중증 및 희귀질환자 진료를 하기 때문에 실제 진료 감소는 40% 정도로 내다봤다.
이러한 가운데 대한의사협회(의협)와 의대교수 단체들도 18일 '집단 휴진'에 나선다.
앞서 의협은 전날 △의대 증원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쟁점 사안 수정 △전공의·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처분 취소 및 사법처리 위협 중단 등 3가지 대정부 요구안을 공개했다.
의협은 정부가 이를 수용하면 집단휴진 보류 여부를 재논의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보건복지부는 "의대 정원과 전공의 처분에 대해서는 정부가 이미 여러 차례 설명했고, 기존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정부가 의대 정원과 전공의 처분에 대해 뜻을 굽히지 않으면서 결국 의협도 18일 집단 휴진을 진행키로 했다.
한편 보건복지부와 대구시, 경북도에 따르면 18일 진료를 쉬겠다고 신고한 곳은 전국 3만 6371개 의료기관(의원급 중 치과·한의원 제외, 일부 병원급 포함) 중 1463곳(4.02%)으로 파악됐다.
이중 대구는 2041곳 중 34곳(1.67%)이 휴진에 동참하고, 경북은 1296곳 중 38곳(2.9%)이 이날 진료를 쉬겠다고 신고한 것으로 파악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이날 한덕수 국무총리와의 주례회동에서 "의료계 불법 진료 거부에 대한 비상 대책에 만전을 기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사실상 이날부터 시작된 서울대 의대 교수들의 집단 휴진과 오는 18일 예고된 대한의사협회(의협)의 무기한 집단 휴진을 '불법 진료 거부'로 간주한 것으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은 앞서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 기간에도 의료계의 집단 휴진 예고를 보고받고 대책 마련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