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비대위, "정부는 불통이지만 우린 국민 목소리 외면 못해
'지속 가능 저항' 방식으로 전환해 정부에 합리적 조치 촉구
국민 건강권 위협 커지면 다시 적극적인 행동 결의할 것"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지난 17일부터 이어져온 전면 휴진을 중단하기로 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21일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시보라매병원, 서울대병원강남센터 등 4곳 병원 전체 교수 대상으로 투표를 실시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서울의대 등에 따르면 투표 결과 전체 응답자 948명 중 698명(73.6%)이 휴진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휴진을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은 192명(20.3%)에 그쳤다.
구체적인 활동 방식에 관한 질문에는 75.4%가 '정책 수립 과정 감시와 비판, 대안 제시'가 필요하다고 했으며, 55.4%가 범의료계와의 연대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밖에도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고려해 지속 가능한 적정 수준으로 근무시간을 조정해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65.6%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서울대병원 교수들은 '빅5' 병원 중 가장 먼저 무기한 휴진을 단행했다.
이후 환자단체들은 다음달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1천명 규모로 '의사 집단휴진 철회 및 재발 방지법 제정 촉구 환자 총궐기대회'를 개최하겠다고 밝히는 등 휴진 결정을 철회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결국 서울대병원 교수진들은 투표 결과에 따라 무기한 휴진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 방식으로 전환해 전공의를 향한 행정처분 취소와 의대 증원 사태 정상화를 위한 합리적 조치를 정부에 촉구하기로 했다.
비대위는 "정부는 불통이지만 우리는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할 수 없다"며 "우리가 전면 휴진을 중단하는 이유는 당장 지금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피해를 그대로 둘 수 없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결정은 무능한 정부의 설익은 정책을 받아들여서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우리는 저항을 계속할 것이며, 정부의 무책임한 결정으로 국민 건강권에 미치는 위협이 커진다면 다시 적극적인 행동을 결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정책 수립 과정을 감시하고 비판과 대안의 목소리를 낼 것이며, 이를 위해 의료계 전체와도 연대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