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문계 "민주당 다양성·역동성 회복 계기"
친명계 "왜 전당대회 중에?...야권 분열용"
법무부, 광복절 특별사면 복권 대상자에
조윤선·현기환·안종범·원세훈 등도 포함
친노(친노무현)·친문(친문재인) 진영의 적자로 평가받고 있는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8·15 광복절 특별사면 복권 대상으로 포함된 것으로 전해지자 더불어민주당내 시선이 계파별로 묘하게 엇갈리는 모양새다.

김 전 지사의 복권에 비명(비이재명)계는 일제히 환영하는 분위기인 반면 친명(친이재명)계에서는 김 전 지사의 복권이 '야권 분열'을 위한 노림수라는 지적도 나온다.
9일 법조계에 따르면 법무부는 전날 정부과천청사에서 사면심사위원회를 열고 특별 사면·감형·복권 대상자를 심사, 김경수 전 지사를 비롯해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현기환 전 정무수석과 안종범 전 정책조정수석,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 등을 대상에 포함했다.
김 전 지사가 복권이 되면 피선거권을 되찾게 되고 2026년 지방선거, 2027년 대선 출마가 가능해져 정치적 재길의 길이 열릭 된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으로 불리는 김 전 지사는 문재인 전 대통령의 '복심 중의 복심'으로 차기 대선 주자로 꼽혀왔다.
하지만 지난 19대 대선 과정에서 '드루킹' 김동원씨 등과 공모해 여론을 조작한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져 징역 2년을 확정받으며 정치생명에 치명상을 입었다.
김 전 지사는 복역 중이던 지난 2022년 12월 사면돼 남은 형기를 면제받았으나 복권은 이뤄지지 않았다.
김 전 지사의 사면 소식에 벌써부터 비명계 구심점이 돼 대선 주자로 뛸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어 향후 대선 구도까지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김두관 당대표 후보는 이날 오전 입장문을 내고 "김 전 지사야말로 정권의 정치탄압의 희생양"이라며 "김 전 지사의 복권이 민주당의 분열이 아니라 다양성과 역동성을 살리고 회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후보는 MBN 유튜브에 출연해서는 "김 전 지사가 경남지사에 다시 도전할지, 당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지 알 수 없지만 정치활동을 하도록 복권돼야 한다"고 말했다.
전병헌 새로운미래 당 대표도 입장문을 통해 "이재명당의 정성호 의원의 복권 반대와 고민정 의원의 외로운 지지 반응을 보며 씁쓸했지만, 윤석열 정부가 모처럼 절대 다수 야당보다 절대 소수 야당의 의견을 받아준 것 같아 뿌듯하다"고 말했다.
앞서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김 전 지사의 복권을 촉구한 바 있다. 김 지사는 김 전 지사 복권을 촉구한다"며 "'내 편 사면', '선택적 사면'은 이미 충분히 했다. 이번 8·15 특별사면은 달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당내에선 이재명 일극체제의 균열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장경태 최고위원은 이날 SBS 라디오에서 "(김 전 지사의) 정치적 활동에 대해 보장해야 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필이면 민주당의 전당대회 과정에 복권을 하는 건 떨떠름하기는 하다.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게 아니냐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친명계 좌장으로 통하는 정성호 의원도 6일 YTN 라디오에서 "김 전 지사도 억울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복권해 줘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여당에선 야권 분열용 시기에 맞춰서 쓸 거라고 보는데 지금은 그 시기가 아니다"라고 말한 바 있다.
한편 지난해 8월부터 영국 런던정경대에서 방문교수 자격으로 머무르다 현재 독일 에베르트재단 초청으로 베를린에서 머물고 있는 김 전 지사는 올해 연말쯤 귀국할 것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