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전주지검 형사3부(부장 한연규)는 지난달 30일 문 전 대통령 딸 다혜씨의 서울 주거지와 제주도 별장 등을 압수수색하면서 영장에 이러한 내용을 담았다.
검찰은 문 전 대통령의 사위였던 서씨의 항공사 특혜 채용 의혹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이번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서씨는 2018년 이상직 전 의원이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 이사장에 오른 뒤 이 전 의원의 소유인 태국 저비용항공사(LCC) 타이이스타젯 전무이사로 취업해 논란이 불거졌다. 검찰은 이 전 의원이 중진공 이사장 임명을 대가로 서씨에게 취업 특혜를 줬다고 보고 있다.
또, 문 전 대통령은 다혜 씨 가족에게 생활자금을 대주다가 서씨가 항공사에 취업한 후 다혜 씨 가족에게 자금 지원을 중단했는데, 서씨가 항공사 임원으로 받은 급여와 태국 이주비 등 2억3000만원을 사실상 문 전 대통령에 대한 뇌물 성격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검찰은 문 전 대통령 부부 금융 계좌를 압수해 부부가 딸 문 씨와 가족에게 지원한 금전적 규모와 태국 이주 비용 등 자금 흐름도 분석 중이다.
검찰은 이 수사와 관련해 문재인 정부 시절 청와대 인사들에 대한 소환조사도 연이어 진행하고 있다. 지난달 20일에는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을, 31일에는 당시 민정수석비서관이었던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조현옥 전 인사수석은 피의자로 입건된 상태다.
한편, 검찰이 문 전 대통령을 뇌물수수 혐의 피의자로 적시한 것과 관련해 더불어민주당이 “정치보복”이라며 강력 반발했다.
문 정부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을 지낸 윤건영 의원을 비롯한 문 정부 청와대·내각 출신 민주당 의원 37명은 1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년의 끝없는 칼춤은 결국 전임 대통령을 모욕주고 괴롭히고, 결국 수사 선상에 올리기 위해 처음부터 계획된 작전이었을 뿐”이라며 “검찰이 전임 대통령에 대한 정치보복의 칼을 분명하게 꺼내들었다”고 규탄했다.
황정아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정권이 위기일 때마다 국면 전환용 정치보복 수사를 반복해 온 정치 검찰의 병이 또 도졌다”며 “김건희 여사가 명품백을 받아도 ‘감사의 표시’라며 수백만 원씩 뇌물을 턱턱 받아도 되는 세상을 만들더니, 문 전 대통령에겐 다 큰 성인 딸에 생활비를 안 줬으면 그 돈 만큼 뇌물이라는 해괴망측한 궤변을 뒤집어 씌운다고 한다”고 비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지난달 31일 본인 소셜미디어(SNS)에 “정치 보복을 단호히 배척한다”며 “전 정권에 보복하고 야당을 탄압한다고 해서 민생이 나아지지도, 국면이 전환되지도 않을 것임을 명심하라”고 검찰 수사를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