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조리원 56% 서울·경기 집중
공공산후조리원 전국 20곳 불과
경북 3곳 뿐 ...정부차원 지원 필요
공공산후조리원은 턱없이 부족한 가운데 지방에서는 민간산후조리원 조차 없는 시군이 많아 산모들의 고충이 크다는 지적이다.
경북의 경우 22개 중 14개(63.6%) 시군에 산후조리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에 운영 중인 산후조리원은 모두 456개소로 경기도가 145곳(31.8%)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112곳(24.6%)으로 집계됐다.
경기와 서울에 있는 산후조리원을 합하면 절반이 넘는 56.4%가 집중된 것으로 집계됐다.
산후조리원이 가장 적은 곳은 세종으로 6곳(1.3%)에 불과했으며, 광주와 울산, 제주가 각각 7곳(1.5%), 대전, 전북, 충북(2.0%)은 9곳이었다.
지난해 지자체에서 설치·운영을 맡고 있는 공공산후조리원은 전국에 20개소(4.4%) 뿐으로 가장 많은 곳은 전남(5개소)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경북 3곳, 서울·경기가 각각 2곳이었다.
지난해 기준 산후조리원은 민간이 436곳(95.6%)인 반면 공공은 20곳(4.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조리원이 없는 기초지방자치단체도 많아, 경북의 경우 22개 시군 중 경산시, 문경시, 영주시, 고령군, 봉화군, 성주군, 영덕군, 영양군, 예천군, 울릉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칠곡군 등 14개 시군에는 산후조리원이 한 곳도 없었다.
산후조리원 이용 가격은 가파르게 상승하고 지역별 격차도 천차만별인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 17개 지자체 중 최근 5년새 산후조리원 비용(2주간 일반실 이용 기준)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광주로 2019년 평균 225만원에서 2023년 평균 370만원으로 64.4% 상승했다.
이어 부산이 190만원에서 278만원(46.3%), 경남 197만원에서 272만원(38.1%) 순이었다. 가격 상승률이 가장 낮은 곳은 세종으로 330만원에서 347만원(5.2%)으로 올랐다.
전국 평균 산후조리원 비용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로 일반실 2주 이용 평균 433만원이었다. 서울시가 지난 8월 발표한 산후조리원 이용현황에 따르면, 가장 비싼 산후조리원은 강남에 위치한 곳으로 특실 이용 요금이 4020만원,일반실 요금은 2520만원이었다.
산후조리원 평균 비용이 가장 낮은 지역은 전북으로 평균 201만원이었으며. 전국에서 산후조리원 비용이 가장 낮은 곳은 청주에 위치한 곳으로 2주에 130만원이다.
박 의원은 "현재 공공 산후조리원 설치, 운영은 지자체의 고유사무라 지자체의 어려운 재정여건으로 인해 적극적 확대에 한계가 있다"며 "원정 산후조리를 하는 일이 없도록 인구감소지역 등 취약지역에 대한 정부 차원의 우선적 지원 강화를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