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구역·죽도시장 등 노동·시민단체 집결

▲ 4일 오전 대구 동대구역 광장에서 대구 시민사회단체와 진보계열 정당 등이 참여한 \'윤석열심판대구시국회의\'가 기자회견을 열고 전날 계엄령을 선포했던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 4일 경북 포항 죽도시장 앞에서 포항시민단체연대회의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비판하는 긴급시국선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4일 경북 포항 죽도시장 앞에서 포항시민단체연대회의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비판하는 긴급시국선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45년 만의 비상계엄 선포가 국회의 요구로 6시간 만에 해제된 4일, 전국 주요 도시 광장에서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촛불집회'가 잇따르고 있다.

전국 동시다발 촛불집회는 '박근혜 탄핵 정국'이었던 2016년 이후 8년 만이다.

대구경북권에서도 지금까지 야권과 재야 위주 소규모로 이어왔던 촛불집회가 시민들의 동참과 노조의 파업과 맞물려 대규모로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대구 동대구역 광장과 경북 포항 죽도시장 앞에서는 4일 오전 시민단체와 노동계를 중심으로 윤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이 잇달았다.

민주노총 대구본부와 윤석열심판대구시국회의 등은 4일 동대구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날 계엄령을 선포했던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했다.

이들은 "윤 대통령이 일으킨 이번 일은 '계엄을 해제한다'라는 말 한마디로 끝낼 수 있는 일이 아니다"라며 "군경을 동원해 물리력을 행사한 분명한 내란"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윤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국민들의 목소리는 걷잡을 수 없이 커질 것이며, 대구 시민들의 목소리를 모아 퇴진 투쟁으로 나아가겠다"고 했다.

대구참여연대와 전국농민회총연맹 경북도연맹, 대구촛불행동 등은 이날 별도 성명을 통해 윤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했고, 대구지방변호사회는 전날 '계엄령 선포를 반대한다'는 성명을 냈다.

대구에서는 이날 오후 시민사회단체의 윤 대통령 퇴진 촉구 기자회견과 행사가 이어졌다.

경북 포항시민단체연대회의도 이날 오전 포항 죽도시장 앞에서 약 50명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시국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 단체는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에서 오직 윤석열 정권만이 지금을 비상사태로 보고 있고 윤석열 정권을 반대하는 모든 시민을 적으로 보고 있다"며 "이 사태 책임은 반국가 내란죄를 범한 윤석열 정권에 있다"고 밝혔다.

대구경북은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압도적으로 표를 몰아준 보수지역이다. 하지만 최근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 지지율이 크게 떨어지며 진보층 뿐만 아니라 중도층에서도 현 정부에 대한 비토 정서가 상당히 고조된 상황이다.

이밖에 전국적으로도 시민들의 촛불집회가 잇따를 전망이다. 5공화국 군사정권의 비상계엄 당시 5·18 민주화운동을 경험했던 광주에서는 4일 오후 7시부터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광주시민 총궐기대회'가 열렸다.

집회는 5·18 역사 현장인 광주 동구 금남로 옛 전남도청 광장에서 열렸다. 호남지역의 각계 기관·단체 대표들은 옛 전남도청 광장에서 광주시민 비상시국대회를 열어 "헌정을 유린한 '내란 수괴' 윤석열을 즉각 체포, 구속해야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순천과 여수 등 전남에서도 재야단체 중심으로 비상계엄을 규탄하는 야간 촛불문화제가 산발적으로 열렸다.

부산에서는 이날 오후부터 내주 초까지 부산진구 서면에서 '군사반란 계엄 폭거 내란범죄자 윤석열 즉각 퇴진 부산시민대회'가 매일 개최됐다.

울산에서는 민주노총 울산본부가 롯데백화점 울산점 앞 광장에서 오후 6시부터 비상계엄 선포 규탄과 정권 퇴진 목소리를 냈다.

강원에서는 '윤석열정권퇴진강원운동본부'가 오후 7시부터 춘천시 석사동 거두사거리 일원에서 촛불문화제가 개최됐다.

강릉지역 시민·노동단체, 정당 등으로 꾸려진 '윤석열탄핵강릉비상행동'이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 지역구 사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탄핵" 등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

제주에서는 오후 7시 제주시청 민원실 앞에서 민주노총 지역본부, 시민사회단체 등이 촛불집회를 진행했다.

대전·세종·충남에서는 이날 오전 지역별 탄핵 촉구 집회가 열렸고, 전북 전주시 충경로사거리와 경남 창원시 성산구 창원광장 등 각지에서 대통령 퇴진 요구 촛불집회가 각각 개최됐다.

경기와 인천 등 수도권에서는 지방변호사회 등 각계의 성명 발표가 이어졌다. 수도권 시민사회, 노동단체는 당분간 광화문광장 등 서울에서 열리는 집회에 합류한다.

한편 포항시의 한 시민은 "지도자들이 ‘경솔한 헤프닝’이라거나 ‘일상에 전념’해야 한다는 등 다소 안일한 입장을 내비친 데 대해 공직자 신분으로서 자극적인 표현을 피하고 완곡하게 표현한 것은 이해가 된다"면서도 "갑작스러운 계엄선포로 일상이 깨진 것은 물론이고 주가하락 등 크고 작은 손실이 발생하는가 하면 선진국민으로서 자존심이 크게 훼손된 사안인데도 지역 지도자들이 시도민들이 보편적으로 느끼는 정서와는 다소 동떨어진 반응을 보였다"며 상당히 실망하는 눈치를 내비쳤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