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오후 尹 '비상계엄' 선포
무장 계엄군 국회 진입 시도 ... '격렬 대치'
4일 오전 1시 여야 190명 전원 해제 요구안 가결
무장계엄군 280여명 계엄 해제 가결 후 철수
尹 대통령 오전 4시 30분 국무회의서 해제안 의결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3일 밤 느닷없이 '비상계엄'을 전격 선포하고 4일 새벽 국회의 계엄해제 요구안 결의를 받아들여 해제 입장을 밝히기까지 걸린 시간은 불과 6시간이었다.
비상계엄은 1979년 '10·26 사건'으로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서거한 직후 이뤄진 지 45년 만이며, 신군부 정권이 물러난 1987년 민주화 이후 처음이다.
여야는 물론 대통령실 다수 참모조차 모른 채 극비리에 비상계엄이 선포된 직후 한 시간 만에 계엄 지역의 모든 행정사무와 사법사무를 관장할 계엄사령부가 설치됐고, 계엄사령관에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임명됐다.
이후 소총을 두른 계엄군이 국회에 무력으로 진입하는 등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고, 국회에는 의결정족수를 넘은 190명의 여야 의원들이 모였다.
이후 열린 본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은 재석 190명, 찬성 190명으로 가결됐다.
계엄군은 계엄 해제 요구안이 가결된 직후 국회에서 철수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국회의 계엄해제 요구에 대해 즉각 공식적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이에 일각에선 윤 대통령이 국회의 해제 요구를 무시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확산됐지만, 결국 윤 대통령은 4일 오전 4시 30분쯤 추가 대국민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해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모든 계엄군이 이날 오전 4시22분을 기해 원 군부대로 돌아갔다고 밝혔고, 이후 이날 오전 5시3분쯤 계엄 선포 후 약 6시간만에 국무회의에서 정족수가 채워져 '계엄해제가 의결됐다'고 밝혔다.
비상계엄 사태는 우여곡절 끝에 해제됐지만 여러 시민사회단체들의 정권 퇴진 목소리가 커지는 등 이번 사태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는 피할 수 없게됐다.
◇ 윤 대통령 돌연 비상계엄 선포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3일 오후 10시23분쯤 긴급 대국민담화를 통해 전국에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이는 여권 수뇌부는 물론이고 대통령실 참모조차 예상하지 못한 초유의 발표였다.
윤 대통령은 약 6분간의 담화문을 통해 "비상계엄을 통해 망국의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는 자유대한민국을 재건하고 지켜낼 것이며, 이를 위해 지금까지 패악질을 일삼은 망국의 원흉, 반국가 세력을 반드시 척결하겠다"고 말했다.
◇ 무장 계엄군 국회 진입 시도 ... '격렬 대치'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한 시간 만에 계엄 지역의 모든 행정 사무와 사법사무를 관장할 계엄사령부가 설치됐고, 계엄사령관에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임명됐다.
박 총장은 오후 11시부로 대한민국 전역에 “국회와 지방의회, 정당의 활동과 정치적 결사, 집회, 시위 등 일체의 정치활동을 금한다”는 내용의 ‘계엄사령부 포고령(제1호)’을 발표했다.
계엄이 선포되자 사정기관은 물론 각급 부처에 ‘비상 대기’와 ‘긴급 소집령’이 떨어졌다.
이후 4일 밤 12시쯤부터 총을 멘 계엄군이 국회로 진입했고, 의원·보좌진과 격렬한 대치가 벌어졌고, 국회 정문 밖에도 계엄령 선포에 반발한 시민 1000여명(추정)이 모여들어 국회 진입을 시도하는 등 현장은 아수라장이 됐다.
◇ 여야 190명 전원 해제 요구안 가결
계엄이 선포되자 우원식 국회의장은 지난 3일 오후 11시쯤 계엄을 해제할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방법인 국회 표결을 위해 "모든 국회의원은 지금 즉시 국회 본회의장으로 모여달라"고 공지했다
계엄 해제를 요구하기 위한 요건인 '재적의원 과반 찬성'을 위해선 최소 150명의 국회의원이 시급하게 본회의장에 모여야 했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일제히 의원들에게 "국회로 모이라"고 공지했다.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본회의에 상정돼 표결에 들어갈 때쯤 국회에는 의결정족수를 넘은 190명의 여야 의원들이 모였다.
이후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은 4일 오전 1시 재석 190인, 찬성 190인으로 가결됐고, 본회의장에선 환호성이 터져 나왔다.
◇ 무장계엄군 280여명 계엄 해제 가결 후 철수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이날 오전 1시쯤 가결되자 우 의장은 계엄군 철수를 강력 요구했다.
이후 국회에 진입한 무장계엄군 280여명은 이날 오전 1시10분쯤 국회에서 철수하기 시작했고 오전 2시3분쯤 국회 경내에서 전원 철수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국회의 계엄해제 요구에 대해 즉각 공식적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 윤 대통령 오전 4시 30분 국무회의서 해제안 의결
국회의 계엄 해제안 요구에도 침묵을 지켰던 윤 대통령은 결국 이날 오전 4시 27분쯤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추가 대국민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해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어젯밤 11시를 기해 국가의 본질적 기능을 마비시키고 자유민주주의 헌정 질서를 붕괴시키려는 반국가세력에 맞서 결연한 구국의 의지로 비상계엄 선포했다"고 말하면서 "그러나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가 있어 계엄 사무에 투입된 군을 철수시켰다. 바로 국무회의 통해 국회의 요구를 수용해 계엄을 해제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새벽인 관계로 아직 의결정족수가 충족되지 못해서 오는 대로 바로 계엄을 해제하겠다"고 덧붙였다.
이후 오전 5시3분쯤 계엄 선포 후 약 6시간만에 국무회의에서 정족수가 채워져 "계엄해제가 의결됐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