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 착륙 중 사고가 난 제주항공 제주항공 7C2216편 여객기는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로 인해 랜딩기어가 고장나면서 동체 바닥이 활주로에 그대로 닿은 채 직진하다 공항 끝단의 담벼락을 들이받고 화염에 휩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동체착륙은 조종사가 최악의 상황에 택할 수 있는 방법으로 랜딩기어가 제대로 작동 안될 때 비행기 몸체를 직접 활주로에 닿게 해 착륙하는 방식으로 '배꼽착륙'으로도 불린다.
비행기 동체와 활주로의 마찰로 속도를 줄여 정지하는 방법으로 동체 하부 손상은 불가피하다.

2003∼2023년까지 호주 교통안전국(ATSB)에 접수된 데이터로만 보면 상업용 여객기의 동체착륙은 이 기간 78건이 시도된 것으로 추산된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통계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23년까지 발생한 항공 사고의 53%가 착륙 과정에서 발생했다.
지난 5월 특송업체 페덱스가 운영하는 보잉 767 화물기가 튀르키예 이스탄불 국제공항에서 랜딩기어 이상으로 앞바퀴가 내려오지 않아 뒷바퀴만으로 동체착륙한 사례가 있었다.
2022년 6월에는 미국 마이애미에서 126명이 탄 여객기가 착륙 중 랜딩기어 손상으로 동체착륙을 시도하면서 화재가 발생해 3명이 병원으로 이송됐다.
2022년 1월에는 국내에서 5세대 스텔스전투기 F-35A가 바퀴가 펴지지 않아 서산기지에 동체착륙하기도 했다.
당시 조종사는 무사했는데, 좌측 엔진 흡입구 쪽에 '조류 충돌'(Bird Strike)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2019년에도 러시아 모스크바 인근에서 우랄항공 소속 여객기가 공중에서 새 떼와 충돌해 동체착륙을 시도했고, 당시 사고로 탑승객 230여명 중 70여명이 다쳤다.
2002년에는 한국 관광객 등 47명을 태운 필리핀 항공기가 랜딩기어 작동불능으로 마닐라 공항에 동체 착륙하기도 한 사례도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