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대생이 다른 의대생에게 휴학을 강요한 사례가 잇따르자 정부가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교육부는 4일 수도권의 한 의과대학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에게 휴학을 강요한 사례가 '의과대학 학생 보호·신고 센터'에 접수돼 이를 경찰청에 수사 의뢰했다고 밝혔다.
교육부에 따르면 해당 의대의 일부 학생들은 휴학계 제출 현황을 전체 의대생이 참여하는 온라인 매체에 반복 게시하는 방법으로 미제출 학생들을 심리적으로 압박하거나, 미제출 학생에게 연락해 휴학계를 제출하고도록 강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행사를 이용해 휴학계를 제출하도록 기획하거나 신입생 연락처를 학교 측으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으로 연락해 휴학계를 제출하도록 설득하는 등 2025학년도 신입생 대상 휴학 강요 시도도 포착됐다.
이 같은 사례가 알려지자 교육부는 40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1개교 포함)에 학사정상화를 방해하려는 모든 행위에 대해 학칙에 따라 엄정 조치해 줄 것을 당부했다.
특히 신입생 동의 없이 재학생에게 개인 정보가 전달∙사용될 경우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처벌될 수 있으니 각 학교에 개인정보 관리에 유의하고 학생들에게 해당 사실을 적극 안내해달라고 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달에도 서울대, 인제대 등에서 논란이 된 의대생 '블랙리스트'와 관련해 경찰청에 엄정한 수사를 의뢰했다.
당시 서울대 의대 본과 3·4학년 중 일부는 개강 첫날인 지난달 20일 수업에 참석했다. 이 과정에서 의사·의대생 온라인 커뮤니티 메디스태프에 수업에 참여한 의대생의 실명과 학년이 공개돼 논란이 빚어지기도 했다.
교육부는 2025학년도 의과대학 학사정상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는 만큼 학생들이 하루 빨리 본업인 학업에 복귀할 것을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