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과거 이른바 ‘노부부 투서 사건’을 둘러싼 의혹 제기에 대해 “정치검찰의 천인공노할 허위투서 음해사건”이라며 강하게 반박했다.
김 후보자는 해당 의혹이 극우 유튜브 채널과 일부 언론을 통해 재확산되고 있다며, 이를 “기레기가 아닌 쓰레기” “무양심 살인청부집단”이라고 비판했다.
김 후보자는 1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잇따라 글을 올려 “청문회를 앞두고 표적 사정과 여론 조작의 일환으로 다시 꺼내든 낡은 카드일 뿐”이라며 “허위 투서로 두 번 세 번 우려먹는 장난질에 당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날 유튜브 방송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서도 관련 의혹을 “소설을 뛰어넘는 아주 나쁜 짓”이라고 일축했다.
논란이 된 사건은 2004년, 김 후보자의 지역구에서 사업체를 운영하던 60대 노부부가 “김 후보자에게 돈을 빌려줬으나 돌려받지 못했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숨졌다는 내용이다.
해당 투서는 2008년 언론을 통해 처음 공개됐으며, 최근 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다시 회자되고 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청탁을 미끼로 제3자의 돈을 착복한 한 지역 주민이 제게 민원을 넣었고, 들어주지 않자 ‘돈을 줬다’는 허위 투서를 남긴 뒤 숨진 것”이라며 “제 보좌관이 녹취해둔 해당 인물과의 대화를 검찰에 자진 제출해 음해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 후보자는 “검찰이 무혐의 처리했던 투서를 먼지 쌓인 캐비닛에서 다시 꺼내 월간조선 등에 흘렸을 가능성이 크다”며 “이는 두 번째 표적 사정이 벌어지던 시기에 여론을 조작하려는 의도였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검찰의 빨대 노릇을 하며 기사를 쓰는 이들을 기레기가 아닌 쓰레기로 본다"며 “정론은 아닐지라도, 적어도 펜에 독을 묻혀 생사람을 암살하는 집단이 돼선 안 된다”고 날을 세웠다.
김 후보자는 과거 본인이 유죄 판결을 받은 정치자금법 위반 사건에 대해서도 “검찰의 표적 수사였다”고 주장했다.
또한 민주당 최고위원으로 활동하던 시기 칭화대 석사 학위 취득에 대한 의혹에 대해서는 “한국에서 아침 회의를 마치고 중국으로 넘어가 수업을 듣는 방식으로 병행했다”고 해명했다.
아울러 김 후보자는 "노부부 투서 사건 등 사실과 다른 내용으로 후보자 및 가족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즉각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예고했다.
한편 국회는 여야 합의로 24~25일 이틀간 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열기로 했다. 김 후보자를 둘러싸고는 재산·금전 거래, 아들 입시 관련 의혹 등 여러 논란이 이어지고 있으며, 김 후보자는 연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적극적으로 반박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