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해제 표결 전후 당사 소집 문자 진술
추경호 전 원내대표 개입 여부 쟁점

국민의힘 조경태 의원이 11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특검 사무실로 참고인 조사를 위해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조경태 의원이 11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특검 사무실로 참고인 조사를 위해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이 11일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 계엄 해제 방해 의혹과 관련해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했다.

조 의원은 이날 오전 7시 50분쯤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도착해 “저는 헌법기관의 일원으로서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킬 의무가 있다”며 “제가 알고 있고 경험한 진실을 소상히 말씀드리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고 밝혔다. 

그는 “아직도 내란은 끝나지 않았다”며 “당내에 ‘윤어게인’을 주창하는 내란 동조 세력이 존재한다. 이들이 떠나지 않으면 제가 당 대표가 돼 몰아내겠다”고 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직후부터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 전후의 국회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국민의힘 의원 108명 가운데 조 의원을 포함한 18명만 본회의장에 참석해 표결에 참여했다.

조 의원은 조사에서 지난해 12월 4일 새벽 추경호 당시 원내대표 측으로부터 ‘국회가 아닌 당사로 오라’는 텔레그램 메시지를 집중적으로 받았다고 진술했다.

그는 조사 후 기자들에게 “국회의장은 본회의장으로 모이라고 하는데 추 전 원내대표 측은 당사로 모이라는 문자를 보냈다”며 “그런 행위를 하도록 유도한 인물들과 침묵했던 추 전 원내대표 모두 수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특검은 또 계엄 선포 직후 추 전 원내대표가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7분 이상 통화한 사실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 의원은 “한 전 총리가 ‘국무위원들이 모두 반대했는데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강행했다’고 말한 것으로 나온다”며 “특검은 추 전 원내대표가 이를 알고도 계엄을 막지 못했고 이후 표결 불참을 유도했는지 들여다볼 것”이라고 했다.

계엄 선포 직후 추 전 원내대표는 비상 의원총회 장소를 국회에서 여의도 당사로 변경했다가 다시 국회로, 또다시 당사로 바꾸는 혼선을 빚었다. 

이를 두고 윤 전 대통령이 추 전 원내대표에게 표결 저지를 요청했고, 추 전 원내대표가 이에 따라 행동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다만 추 전 원내대표 측은 “계엄을 사전에 알지 못했고 표결 방해 논의도 없었다”고 반박하고 있다.

특검팀은 앞서 김상욱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민기 국회 사무총장, 우원식 국회의장 등을 차례로 불러 조사했으며, 표결에 불참한 다른 의원들로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