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관련 수사했던 김종현·김영철 등 사직
김건희 여사 명품가방 무혐의 처분 검사들도 잇따라 떠나
검찰개혁 법안 앞두고 조직 동요 확대 관측도

검찰청 전경. 연합뉴스
검찰청 전경.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 시절 이재명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관련 의혹을 수사했던 검사들, 그리고 김건희 여사 ‘봐주기 수사’ 논란에 휩싸였던 검사들이 잇달아 검찰을 떠나고 있다.

지난 21일 단행된 이재명 정부 첫 검찰 중간간부 인사에서 다수가 ‘한직’으로 분류되는 자리로 전보된 데 따른 후폭풍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종현(사법연수원 33기) 대검찰청 공공수사기획관은 지난 22일 사직서를 제출했다. 김 기획관은 수원지검 공공수사부장으로 재직하며 이재명 대통령의 ‘변호사비 대납 의혹’을 수사한 바 있다. 그는 이번 인사에서 부산지검 서부지청장으로 전보됐다.

같은 날, 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수사를 지휘한 김영철(33기) 서울북부지검 차장검사도 검찰 내부망에 사의를 밝혔다. 문재인 정부 인사들의 취업청탁 의혹 수사도 그의 손을 거쳤다. 김 차장은 부산고검 검사로 발령됐다.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금품수수 의혹을 수사한 호승진(37기) 대검 디지털수사과장도 법무연수원 교수로 전보되자 사직 의사를 밝혔고, 신영대 민주당 의원의 새만금 태양광 비리 사건을 맡았던 이일규(34기) 북부지검 국가재정범죄합수단장도 대구고검 발령 후 사의를 표명했다.

김건희 여사 관련 수사팀에서도 연쇄 이탈이 이어졌다. 명태균 특혜 의혹을 수사했던 이지형(33기) 부산지검 2차장은 대전고검 검사로, 명품가방 수수 사건을 불기소 처분한 김승호(33기) 중앙지검 형사1부장은 부산고검 검사로 발령됐고, 모두 사직했다.

이밖에 김 여사 사건 수사 지휘 라인에 있던 박승환(32기) 중앙지검 1차장과, ‘윤석열 사단’으로 불린 단성한(32기) 전 고양지청장도 인사 전 의원면직 처리됐다.

김학의 전 차관 성접대 사건, 이태원 참사 책임 수사 등을 맡았던 김정훈(36기) 대검 범죄정보1담당관도 제주지검 형사1부장으로 발령된 직후 사표를 냈다. 이재만(36기) 대검 노동수사지원과장도 안동지청장으로 발령되자 사의를 표명했다.

법조계 일각에선 “검찰청 폐지와 공소청·중수청 신설을 담은 이른바 ‘검찰개혁 4법’ 처리가 예고된 상황에서 검사들의 동요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인사로 인한 불만에 제도 개편 불확실성까지 겹치며 조직 이탈이 가시화되는 분위기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